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면
쌍방
겸용
둘다
옆
옆면
측면
뉴스
"
양쪽
"(으)로 총 57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선팔 구조 최고(最古) 은하 124억광년 떨어진 곳서 찾아내
연합뉴스
l
2021.05.23
은하의 탄소 이온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포착한 이미지 밝은 중앙을 중심으로
양쪽
끝으로 나선팔 구조가 선명히 드러나 있다. [ALMA (ESO/NAOJ/NRAO), T. Tsukui & S. Iguch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 은하는 중심 원반을 휘감는 나선팔 구조를 가진 나선은하로 태양계도 이 나선팔 공간에 들어서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식물을 ‘육지의 지배자’로 만든 숨은 조력자
동아사이언스
l
2021.05.23
서로에게 이득이 되는 공생 관계다. 이런 상리공생은 공생 관계를 형성하지 않으면
양쪽
모두 생존이 어려울 수 있다. 수지상 균근 곰팡이(AMF·Arbuscular Mycorrhizal Fungi)는 식물과 곰팡이의 상리공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수지상 균근 곰팡이는 식물의 뿌리에서 공생 관계를 맺고 있는 곰팡이를 ... ...
“英 화이자·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회 접종자 96% 항체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5.19
사람보다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사람에게 더 빠르게 항체가 생성됐다. 그러나 4주 후
양쪽
모두 거의 동일한 항체 생성률을 보였다. 연구진은 “암이나 당뇨, 심장병과 같은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들과 항암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1차 접종 뒤 생성된 항체 수준이 낮게 나타났지만 모든 ... ...
사지마비 환자 생각만으로 스마트폰 입력 속도로 글자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3
운동 신호를 보내는 능력이 남아있다. 이같은 뇌의 신호를 읽어들이기 위해 환자의 뇌
양쪽
에 작은 알약만한 크기의 칩을 각각 심었다. 각 칩에 달린 100개의 전극이 움직임을 제어하는 뇌 부위인 운동 피질에서 나오는 뇌의 신경 신호를 읽어 컴퓨터로 전송한다. 환자는 생각만으로 알파벳 소문자 2 ... ...
동물과 식물의 사랑 고백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01
꽃 위로 날아와 꽃과 짝짓기 행동을 한 것입니다. 캘런 교수는 난의 안쪽 꽃잎 끝이
양쪽
으로 길게 갈라져 있어 암컷 하늘소처럼 생겼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난초는 하늘소를 유인하기 위해 성호르몬인 페로몬도 뿜어냈습니다. 연구팀은 이 성호르몬을 ‘디살락톤’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특정 ... ...
"자가검사키트 양성 나오면 즉시 선별검사소 가세요"…방역당국 "사용법 숙지" 당부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사람이 직접 콧속으로 면봉을 집어넣어서 여러 번 문질러 검체를 채취하는 방식이다.
양쪽
콧 속 1.5cm까지 집어넣어 각각 10번 가량 문질러 분비물을 채취하는 방식이다. 코 안쪽에 분비물이 잘 모일 수 있도록 검사 1시간 전에는 코를 풀거나 세척하지 않아야 한다. 정 본부장은 “전문가들은 ... ...
코로나19 시대 '집콕'과 '스마트폰'이 부르는 디지털 질병
연합뉴스
l
2021.04.22
2021.04.21. [서울아산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어깨 이완 운동.
양쪽
어깨를 가볍게 힘을 빼고 5~10회 정도 원 모양으로 돌려준다. 견갑골 주변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주며, 일상생활 중에 자주 해주는 것이 좋다. 2021.04.21. [서울아산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손목 터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시장이 반찬인 이유
2021.04.20
묻힌 조각이 있다. 여기에 배부른 생쥐를 두고 5분간 이동 궤적(주둥이 위치)을 기록하면
양쪽
에 머문 시간이 비슷하다(가운데). 반면 25시간 굶긴 생쥐를 두면 먹이 냄새 쪽에 머문 시간이 훨씬 길다(아래). 네이처 제공 ○ 배고픔과 물림의 시소 뇌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핵심 부위는 시상하부다. ... ...
[지구는 살아있다]펀치볼, 2억년간 빗방울이 만든 '딥 임팩트'
2021.04.18
잘 일어나는 화강암으로 이루어졌지만, 분지를 둘러싼 주변 산은 변성암이다. 변성암은
양쪽
에서 힘을 받아 만들어지면서, 암석 속에 ‘엽리’라는 선 모양의 구조가 생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필자소개. 우경식. 강원대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 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 ...
유연한 사람 바로 '나야 나'
팝뉴스
l
2021.04.08
한 여성이 직접 공개한 사진이다. 사진을 보면 여성의 유연성을 대단하다. 복도
양쪽
에 한발씩 붙이고 몸을 지탱하고 있다. 유연성 못지 않게 근력도 대단할 것 같다는 평가도 많다. 그런데 공공 장소로 보이는 곳에서 저런 장난을 쳐도 되는 것일까. 몇몇 네티즌들이 입맛이 쓴 모양이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