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상
기대
제기
제언
제사그릇
가망
예견
뉴스
"
예기
"(으)로 총 143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의사가 수술 오류를 범했다면…
동아일보
l
2016.03.22
의료기록과 유전 정보 등 데이터를 활용한다. 진단도 빠르고 수술도 즉각적이다. 문제는
예기
치 않은 변수가 생겼을 때다. 알파고가 4국에서 한 것처럼 의료로봇이 수술하는 동안 오류를 범했다고 치자. 생각만 해도 가슴이 철렁한다. 의료진은 사고가 나면 즉각 대처하고 차선책을 진행하지만 ... ...
8차례 이어진 BMW 차량 화재… 국과수 조사 결과 ‘원인 불명’
동아닷컴
l
2016.02.04
교육 세미나를 제공할 예정이며, 이는 외부 수리 업체를 이용하는 고객들까지 고려하여
예기
치 않은 안전사고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아울러 노후 차량을 대상으로 한 무상 안전 점검 캠페인도 진행된다. 이번 캠페인은 최소 5년 또는 10만km 무상 소모성부품 제공기간(BSI)이 만료된 차량을 ... ...
[수도권/건강 100세]담석-당뇨 등 질환자, 설연휴 과식 더 위험
동아일보
l
2016.02.01
또 졸음을 유발해 장거리 이동 때 졸음운전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급성 복통을 일으켜
예기
치 않게 화장실을 자주 찾을 수도 있다. 만성 질환을 앓고 있다면 명절 연휴 과식은 더욱 위험하다. 담석이 있는 사람이 기름진 음식을 과다 섭취하면 지방의 소화와 흡수에 필요한 담즙산의 분비가 ... ...
소두증 유발 가능성 ‘지카 바이러스’ 빠른 확산…WHO, 긴급위원회서 비상사태 선포 논의
동아닷컴
l
2016.01.29
퍼져서 다른 나라의 공중 보건에 위험이 된다고 판단되거나, 상황이 심각하고 특이하며
예기
치 못한 정도로 감염 국가 이외의 공중 보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 때 선포된다. PHEIC가 선포되면 해당 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함께 여행과 교역, 국경 간 이동이 금지된다. PHEIC는 2009년 ... ...
‘뇌의 10%만 쓴다’ 아인슈타인이 한 말 아냐
2015.11.15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썩히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뇌의 과잉 진화는
예기
치 않은 환경을 만났을 때 대응할 수 있는 일종의 ‘여유’가 되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신체가 갑자기 변한다고 해도 충분히 적응해 나갈 수 있는 안전장치가 된다는 의미다. 실제로 한 연구에서 손가락이 ... ...
뒷걸음질 “아∼”… 결승선 통과 “와∼”… 울고웃은 로봇팀
동아일보
l
2015.06.22
학생들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만 경험하고 실제 로봇을 움직이는 건 처음이었던 만큼
예기
치 못한 상황이 속출했다. 한 로봇은 경연 시작 이후에도 전진하지 못하고 제자리만 뱅뱅 돌아 관객까지 애를 태웠다. 경연장 곳곳에서 아쉬운 목소리가 새나왔고 “한 번 더 기회를 달라”고 읍소하는 팀도 ... ...
WHO “한국메르스, 국제비상사태는 아니다”
동아일보
l
2015.06.18
“앞으로 몇 주간 추가 발병 사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동이 활발한 사회에서 모든 국가는
예기
치 않은 전염병 발발에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며 “여행객들에게 메르스 예방법을 알리고 보건·항공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와 소통 절차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WHO는 그동안 2013년에 네 차례, 201 ... ...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2015.02.11
기발한 방법으로 아프리카의 대낮을 정복했습니다. 하지만 뭐든 장점이 생기면
예기
치 못한 단점도 나타나는 법입니다. 땀을 흘려 체온을 조절하게 되면서 인간은 물에 그만큼 많이 의존하게 됐습니다. 건조화가 진행되고 있는 아프리카에서 마실 물을 구하기란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따라서 ... ...
싹둑싹둑 ‘유전자 가위’ 맘놓고 쓸 수 있게 됐다
2015.02.10
만약 유전자 가위가 표적으로 하는 염기서열 외에도 다른 유사한 염기서열을 잘라낸다면
예기
치 않은 돌연변이를 일으킬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인간 DNA를 유전자 가위로 잘래낸 뒤 ‘유전체 시퀀싱’이라는 유전공학 기법을 통해 유전자 가위가 정확하게 표적 염기서열을 잘라냈는지 ... ...
한국형발사체, 고(Go) 고(Go) 고(Go)~!
2014.12.26
교수는 “해외 사례에서 보듯 우주개발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다 하더라도
예기
치 못한 변수가 생길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며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은 그런 여지를 수용하기에는 일정이 빡빡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결국 남는 것은 개발인력과 경험인 만큼 인력에 대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