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잇따른 '개물림' 사고..."인간은 개의 공격성 과소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8
공격적인 행동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12월 7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92명의 참가자에게 인간과 개, 원숭이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27개의 영상을 보여줬다. 이후 참가자 중 절반(그룹1)에게는 영상에 보이는 행동이 '공격' '중립' '장난' 중 어디에 속하는지 ... ...
뉴런처럼 동작하는 땀 센서로 장시간 질환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8
패치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1월 7
일자
에 발표됐다. 사람이 흘리는 땀에는 혈액의 대사물질, 이온 농도와 영양분 같은 화학 정보가 포함돼 있다. 웨어러블 센서는 이를 모니터링 해 채혈 없이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땀 ... ...
[과기원은 지금] DGIST, 빛에 의한 온도 변화 측정하는 온도 센서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06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저항성을 강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11월 8
일자
에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장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 비만 암컷 생쥐의 질 내에 유입된 균들이 아미노산의 일종인 아르기닌을 활발히 생산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아르기닌은 질 내의 ... ...
우뇌 연결이 공감능력 만든다…자폐, 사이코패스 연구에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2.12.05
우뇌의 뇌파 동기화가 공감 기능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뉴런' 12월 2
일자
에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뇌파 동기화는 뇌 영역들 간 기능적 연결을 의미한다. 생쥐는 공포를 느끼는 순간 동작을 멈추는 행동을 보인다. 연구팀은 상자 속 두 생쥐 중 한쪽의 생쥐에게만 전기충격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예상보다 더 많은 마그마를 품은 옐로스톤 화산
동아사이언스
l
2022.12.04
옐로스톤 화산 아래 당초 추정치보다 많은 양의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1
일자
(현지시간)에 소개했다. 마그마는 지하에서 암석이 고온으로 가열돼 용융된 것을 말한다. 로스 맥과이어 미국 일리노이대 지질학과 교수는 지진 단층 촬영을 통해 옐로스톤 화산 아래 지진파의 속도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구글 양자 프로세서로 순간이동 ‘웜홀’ 가능성 엿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3
여겨지는 ‘웜홀’이 양자 컴퓨터에 구현된 프로세서상에서 구현됐다. 네이처는 12월 1
일자
표지에 컴퓨터 회로를 단순화한 모식도에서 회로 사이를 뚫고 지나가는 빛줄기를 담은 모습을 실었다. 웜홀은 공상과학(SF) 영화나 소설에서 굉장히 먼 거리를 순간이동하는 통로로 묘사되곤 했다. 성간 ... ...
바둑·체스 이어 보드게임도 정복…인공지능, 새로운 지평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인간 플레이어 못지 않은 수준의 실력을 갖췄다는 내용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2월 1
일자
에 발표했다. 보드게임은 AI 분야의 진보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수단이다. 통제된 환경에서 AI가 전략을 짜고 실행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말을 움직이며 상대의 숨겨진 깃발을 찾는 ... ...
종이만큼 얇은 메타표면으로 빛의 특성 자유롭게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1월 3
일자
에 발표됐다. KAIST 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이 개발한 유니버설 메타표면을 이용해 3D 홀로그램을 구현한 모습. KAIST 제공 ...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청소년 뇌는 3년 더 빨리 늙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변화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생물 심리학: 글로벌 오픈 사이언스' 12월 1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6년 11월부터 2019년 11월 사이 81명의 청소년 뇌 MRI 스캔 결과를 팬데믹 봉쇄가 끝난 2020년 10월부터 올해 3월 사이에 수집된 82건의 결과와 비교했다. 두 집단의 ... ...
우유 나오는 번데기로 유충 기른다…사회적 곤충 개미의 의사소통법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전체 개미군집의 체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11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 그간 개미에 대한 연구는 대다수 군집에 집중돼 개미 개체들간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전체 개미군집에서 번데기의 역할은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