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낮의 빛
햇빛
일광
뉴스
"
자연의 빛
"(으)로 총 552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AI로 상상한 조선시대 산수화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작가도 인공신경망 기술로 조선 시대의 여러 산수화를 학습한 뒤 상상 속
자연의
모습을 그려냈다. 국립중앙과학관은 17일 ‘인공지능과 예술(AI×ART) ... 했다. 영상보기 https://youtu.be/bdT03xpR-qE ○ 연결된 우정, 그리고
빛
이 되다(컨넥트 No3., 학생부 국립중앙과학관장상) 학생부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 미국은 소행성 방어 연구...한국도 아포피스 향해 첫 탐사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방향을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디모르포스가 디디모스를 공전할 때 달라지는
빛
의 밝기를 측정해 공전 주기와 궤도를 관찰해 왔다. 다트가 충돌한 뒤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두 소행성의 정확한 위치와 충돌 시간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얻었다. 리브킨 책임자는 ... ...
[랩큐멘터리] 2차원 물질이 만드는 공간, 에너지·환경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공간에서 서로 배열하고 운동하는 현상은 아직도 알려진 게 많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다.
빛
이 파장보다 작은 공간에서 움직이는 양상 역시 마찬가지다. 공학적으로는 1차원과 2차원 물질이 만들어내는 저차원 공간 내 물질전달 현상을 탐구하면 차세대 배터리 등 미래 에너지기술과 해수담수화 등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 첨단기술이 무기 패러다임 바꾼다
2021.11.26
위한 ‘10대 게임체인저’ 기술에 포함하는 등 가장 주목받고 있다. 레이저 무기는
빛
의 특성을 이용해 높은 정확도와 광속 발사가 가능하다. 레이저를 만들 전력만 충분하면 대량사격과 다수 표적에 동시 대응할 수 있고 발사와 유지비용도 다른 무기보다 값싸다. 미국 의회조사국에 따르면 현재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 전투병은 전쟁 소모품 오명 벗나...병사 생존력 높이는 스텔스 기술 개발중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설계된 물질로 흔히 인위적으로
빛
을 굴절시켜 사물을 보이지 않도록 하는 ‘투명망토’ 구현이 가능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조 교수는 “결국 레이더와 적외선 감시를 회피하는 스텔스 메타물질 개발 필요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개발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이 노벨상을 받은 업적 '광전효과'
2021.11.11
광자의 진동수에 비례한다. 이때 광자의 개수(
빛
의 세기)가 얼마나 많은지는 전자 하나의 ... 그러니까, 적어도 광전효과라는 현상에서는
빛
이 광양자라는 알갱이처럼 행동한다. ... 상수는 미시세계를 지배하는 가장 근본적인
자연의
상수이다. 20세기에는
자연의
상수를 모두 이와 비슷한 ... ...
중심별의 죽음에서 살아남은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21.11.05
미시중력렌즈는 천체가 근처 시공간을 휘게 해 마치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는 현상으로,
빛
이 휘어진 정도를 분석하면 천체의 질량 등 일부 특성을 알아낼 수 있다. 연구 결과 백색왜성으로 진화한 중심별의 질량은 태양의 약 0.53배였다. 또 행성은 목성처럼 가스로 이뤄져 있었으며 질량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탄소’가 망친 세상 ‘수소’가 구해줄까
2021.10.27
에 집중되어 있다. 태양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다. 무려 1억 5천만 킬로미터나 된다.
빛
의 속도로 8분 30초가 걸리고, 국제선 항공기로는 무려 17년이 걸린다. 표면 온도도 6천도나 된다. 지구의 사정은 전혀 다르다.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물질인 수소 기체는 모두 우주 공간으로 날아가 버렸다. 지구에 ... ...
[2021노벨상]벽 허문 지구과학·박해 피한 이민자 수상자들…올해도 드라마는 있었다
2021.10.08
밝힌 연구는 한층 더 완성에 가까워졌다. 황선욱 고려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는 "
빛
의 수용체(로돕신)을 발견해 시각 원리를 밝힌 성과가 1967년 가장 먼저 받았고, 2004년 냄새를 감지하는 후각 수용체들을를 발견한 성과가 받은 데 이어 이번엔 촉각 연구가 선정됐다"며 "오감 중 시각과 후각, 촉각 ... ...
노벨화학상, 의약품 연구와 친환경 화학 혁명 가져온 2명의 화학자 수상(종합)
2021.10.06
화학과 교수. 미국 프린스턴대 제공 특히 비대칭 유기 촉매 기술은 의약품에서
빛
을 보게 됐다. 촉매를 통해 분자가 생성될 때 2개의 대칭적인 분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이용해 이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다. 김혜진 선임연구원은 “유기촉매의 대칭성을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