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장
창자
뉴스
"
체내기관
"(으)로 총 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반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꿔 뇌질환 극복한다…김종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김종필 동국대 화학과 교수. 과기정통부 제공. 몸 속의 일반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해 치매와 같은 질환 치료와 재생의학 발전에 공헌한 김종필 동국대 화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2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김종필 동국대 교수 ... ...
혈액세포 만드는 '조혈모세포' 핵심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GIB 제공 혈액세포를 만드는 줄기세포인 조혈모세포(조혈줄기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밝혀졌다. 이윤성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 연구위원팀은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팀과 공동으로 조혈줄기세포 발생 과정을 밝히고 관련 단백질과 유전자를 찾아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 ... ...
[백신 업데이트] 美 모더나 mRNA 백신 "임상3상서 예방 효과 94.5%"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미국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생명공학기업 모더나. 연합뉴스 제공 “‘코브(COVE) 연구’로 불리는 3상 임상시험 중간 분석 결과 백신 효율이 94.5%로 나타났다. 몇 주 안에 미국식품의약국(FDA)에 긴급사용승인을 요청하려고 한다.” 미 생명공학기업 모더나가 16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보도자료를 올 ... ...
[백신 업데이트]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후보 10종…한 달째 안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1.04
미국 생명공학사 이뮤니티바이오가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의 한 병원에서 자체 개발중인 전달체(벡터) 방식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의 임상1상에 돌입했다. 이뮤니티바이오 제공 전세계에서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의 수가 200종을 돌 ... ...
[코로나19 연구속보]코로나19 유망 치료제? ‘글쎄’… “토실리주맙, 효과 없다”
2020.10.26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망 치료제로 거론되는 ‘토실리주맙’(제품명: 악템라/로악템라, 로슈)이 코로나19 중증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가 거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코로나19 치료제로 가장 주목되는 약물 중 하나인 토실리주맙의 치료 효과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몸 차갑게 하고 덜 먹어야 오래 산다
2020.10.20
픽사베이 제공 2016년 미국 알버트아인슈타인의과대학에서 당뇨약 메트포르민으로 노화지연약물 임상시험을 시작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뒤 필자는 이 약물을 구해 복용할 수 없을까 궁리를 해봤다. 여러 연구결과를 읽어보니 효과는 뚜렷하고(특히 수명연장과 암예방에서) 부작용은 미미한 것 같았 ... ...
[코로나19 연구속보] 입원한 코로나19 환자 7명 중 1명은 뇌·신경에 손상 입는다
2020.10.15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전자현미경으로 스캔한 모습. 위키미디어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감염되면 보통 폐에 손상을 입는다. 폐세포를 직접 공격하기 때문이다. 호흡과도 직결되는 폐에 염증이 생기면 인공호흡기나 산소 치료를 받아야 하는 중증 코로나19 환자로 진행된다.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환자의 검체에서 채취한 환자의 세포(파란색)를 관찰한 전자현미경 영상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빨간색)가 세포 표면을 가득 덮고 있다. NIAID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이 처음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생한지 10 ... ...
[고쳐 쓰자, 과학용어](1)'게놈'은 '유전체'로, '아밀라아제'는 '아밀레이스'로
2020.10.12
포스텍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1193명 조사 '아밀라아제' '리파아제'는 일본식 표기 잔재 과학자들도 학계마다 표기법 달라 혼용 Pixabay 제공 “게놈(genome·유전체)이라고 말하면 영어권 과학자들은 못 알아듣습니다.” “뼈모세포는 한글인 ‘뼈’와 한자인 ‘모(母)’가 합쳐진 국적 불명의 단어 ... ...
출연연 첫 화상 연구성과 발표 들었습니다…KIST 임플란트 코팅용 인공뼈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전호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은 생체 이식용 재료 표면에 기존보다 3배 이상 단단하게 달라붙는 세라믹 인공뼈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K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골질환에 쓰이는 임플란트가 일으키는 염증과 같은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활용되는 인공뼈 코팅을 3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