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근소식
최신뉴스
뉴스
"
최신소식
"(으)로 총 16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섬유로 세포 배양해 손상 조직 치료
과학동아
l
2014.03.12
과거에는 세포의 기능이나 약물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인체나 실험동물로부터 추출한 세포를 플라스크에 배양하거나 약물을 체내에 주입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체 조직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나노소재를 이용해 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함으로써 세포반응에 대한 정보를 보다 더 ... ...
곤충 눈 모사한 카메라 렌즈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동아일보DB 제공 자연계에는 100만 종 이상의 곤충이 존재한다. 종류가 많은 만큼 사물을 보는 방식도 10가지에 이를 정도로 다양하다. 예를 들어, 잠자리는 수많은 겹눈을 이용해 낮에는 사물을 선명하게 바라볼 수 있지만 깜깜한 밤에는 제대로 볼 수 없다. 발광기관을 가진 반딧불이는 잠자리와 ... ...
뚱뚱한 사람이 자주 아픈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위키피디아 제공 지방조직은 인체에 있는 200여 종의 세포 가운데 잉여 에너지를 풍선처럼 가득 채우고 있는 지방세포로 이뤄진 일종의 ‘기름 덩어리’다. 수렵·채집 생활을 하던 원시시대에는 굶는 일이 잦다보니 지방조직에 저장해 놓은 에너지를 공급받아 생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먹 ... ...
X-선으로 나노세계 손바닥 보듯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위키피디아 제공 독일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이 1895년 발견한 ‘X-선’은 전자가 핵과 충돌해 속도가 줄어들 때 발생하는 전자기파다. 물질을 쉽게 투과하는 성질을 갖고 있어 병원 방사선과, 공항 보안 검색대 등 우리 생활 곳곳에서 사용된다. 연구자들은 X-선을 주로 물질 구성 관찰에 사 ... ...
세포의 분해력으로 내성 결핵균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결핵균 - 위키피디아 제공 많은 이들이 ‘결핵’에 대해 요즘은 걸리기 힘든 후진국 질병으로만 알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전 세계 인구의 30% 이상이 결핵에 감염돼 있고, 매년 약 200만 명의 생명을 빼앗아갈 정도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 중 결핵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를 ... ...
가속기의 방해꾼 '빛'을 이용해 첨단기술 업그레이드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포항 방사광 가속기 - 포항가속기연구소 제공 초창기에 개발된 1세대 가속기는 입자물리학 분야 연구를 위해 주로 전자나 양성자 충돌 실험에만 사용됐다. 이 때문에 입자를 얼마나 빨리 가속시킬 수 있는가가 관건이었다. 입자 가속시 발생하는 빛은 연구의 방해물로만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 ... ...
우주의 신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22
위키피디아 제공 우주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인간 출현 후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고대에는 우주를 신격화하고 숭배하기 위해 우주의 비밀을 알고 싶어했고,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관련 장비가 개발된 지금은 우주의 탄생과 현재, 그리고 미래를 알기 위해 다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 ... ...
두 얼굴의 사나이? 아니, 두 얼굴의 곰팡이
동아사이언스
l
2014.01.15
주요 병원성 곰팡이 - 연세대 제공 제2차 세계대전 때 만들어져 수많은 사람을 살린 항생제 ‘페니실린’은 영국의 미생물학자 알렉산더 플레밍(1881~1995)이 ‘푸른곰팡이’가 포도상구균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하면서 탄생한 약품이다. 현재까지 약 6만9000여 종이 보고된 곰팡이 ... ...
DNA 조작으로 불치병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위키미디어 제공 자식이라면 누구나 부모에게서 유전형질을 물려받는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부모한테서 어떤 유전자를 받았는지가 중요했고, 전체 DNA 염기서열 정보만 확보하면 다양한 질병을 쉽게 극복할 수 있을 거란 가설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전체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게 된 지 ... ...
만병의 근원 '스트레스' 없앨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1
동아일보DB 제공 ‘스트레스’ 학설을 처음 주장한 오스트리아의 내분비학자 한스 셀리에(1907~1982)는 “인체의 항상성을 건드리는 모든 자극이 스트레스”라고 정의했다. 셀리에의 말대로라면 인간은 스트레스 없이 살 수 없는 상황이다. 문제는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만성 스트레스 질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