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뉴스
"
특이
"(으)로 총 1,505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라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
과학동아
l
2024.03.16
(doi: 10.1016/j.scitotenv.2023.168959) '소라게'라고도 불리는 집게는 조개 껍데기를 메고 다니는
특이
한 모습으로 잘 알려진 갑각류다. 집게는 다른 갑각류와 달리 복부가 껍질로 덮이지 않아 부드럽다. 복부를 보호할 수 있는 딱딱한 소재의 집을 찾아다닌다. 집의 재료로 조개 껍데기는 물론, 속이 빈 ... ...
지진으로 日 오염수 방류 중단…정부 "전문가 현지 파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성규 원안위 방사선방재국장은 "어제까지 방류된 오염수에서
특이
사항은 없었다"며 일본 측이 지진 영향을 최종 점검한 후 방류를 재개하면 다시 관련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 ...
우주비행사 10명 중 9명, 우주 공간서 두통 겪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긴장형 두통은 두피에 분포하는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하면서 발생하는 비
특이
적인 두통이고 편두통은 머리의 한쪽에만 나타나는 두통을 의미한다. 우주 비행사들은 우주 여행 초반 적응 과정에서 두통이 더욱 자주 발생했고 강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첫 주 발생한 두통은 41건으로 이 중 2 ... ...
[정치에 도전한 과학자들] ②구글 출신 이해민 "R&D예산 삭감 문제 단순치 않아"
과학동아
l
2024.03.12
앞으로도 노력해야 합니다." Q. 마지막으로 각오를 들려 달라. "저는 지금이 한국 정치의 '
특이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2023년 R&D 예산 삭감 발표는 단순히 한 해의 예산을 깎은 것이 아닙니다. 내년에 다시 삭감된 예산을 복원해준다고 해도 단순한 해프닝으로 끝날 일이 아닙니다. 특히 이번 예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저항성이 큰 탱자와 사이에서 육종으로 얻은 잡종 품종인 선드래곤(사진)은
특이
하게도 오렌지와 비슷한 향기를 지니고 있다. 최근 오렌지 대안으로 선드래곤을 심는 농가가 늘고 있다. Georgia Grown Citrus 제공 ● 오렌지 향기 유전자 찾아 미국 플로리다대 연구자들은 감귤류 향기를 분석해 육종 ... ...
백상아리 홀로 사냥하는 범고래…2분 만에 간만 빼먹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3
범고래가 혼자서, 그것도 엄청나게 빠른 시간에 사냥을 했다는 점에서도 이번 사례는
특이
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기존 이 지역에서 포식자로 활동해왔던 '스타보드'라는 이름의 범고래를 관찰하던 중 이같은 사냥 장면을 포착했다. 스타보드는 지난해 6월 18일 케이프타운에서 동쪽으로 약 ... ...
mRNA 보호하는 '혼합 꼬리'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역할을 해 유전자 활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점도 확인했다. mRNA 꼬리는 RNA 변형의
특이
적인 행태로 인해 생화학 실험과 정량적 분석에는 어려움이 있다. 50~150개 RNA 분자의 연속적인 변형에 대한 단일염기 분석도 필요해 mRNA 혼합 꼬리 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데 제한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 ...
미생물 이용해 자스민향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꾸준히 향을 만들어내는 공정을 고안했다. 벤질아세테이트 생합성 효소의 기질 비
특이
성으로 인한 부산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지연공생배양 전략. KAIST 제공 연구팀은 2종류 이상의 미생물을 혼합해 동시에 배양하는 기술인 ‘공생배양’을 이용했다. 공정 초반엔 포도당으로부터 ... ...
"매일 태양 1개만큼 물질 빨아들이는 초거대 퀘이사 포착"
연합뉴스
l
2024.02.20
우주의 먼 거리(6억~300억 광년)에서 발견되는 활동적인 초대질량 블랙홀을 포함한
특이
천체다. 호주 국립대(ANU) 크리스천 울프 교수팀은 20일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서 2022년 발견된 퀘이사 J0529-4351에 대한 추가 관측과 모델 실험을 통해 이 퀘이사가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과거에 쿠루의 원인이라 생각한 것은 이제 바이러스가 아니라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특이
한 단백질인 프리온이 원인임이 알려져 있다. 과거에 지발성 바이러스로 여긴 것중 일부는 지금도 그 이름을 사용하고 일부는 프리온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프리온이라는 용어는 1982년에 프루시너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