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사이
틈
거리
여유
트집
틈바구니
뉴스
"
틈새
"(으)로 총 147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끼리 도토는 정말 정준하를 기억했을까
2015.10.09
염증이 생겼을 때도 막대기를 철창
틈새
에 대고 ‘타깃’을 외쳐 코끼리가 철창
틈새
로 발을 내밀게 해 안전하게 치료한다. 코끼리 상처 치료를 담당하는 지인환 사육사는 “칼처럼 뾰족한 도구를 자주 쓰는 탓에 코끼리에게 ‘아픔을 주는 사람’으로 기억돼 있다”며 “말썽 부리는 코끼리에게 ... ...
해저 6000m 누빌 韓 두 번째 심해 무인 로봇
2015.08.14
해구의 수심 1만1000m 바닥까지 들어가 이틀 이상 탐사 활동을 벌일 수 있다. 우리나라는
틈새
전략을 펼치고 있다. 6000m급 잠수정이 전 세계 해양의 95%를 조사할 수 있는 만큼 크랩스터 6000을 추가로 개발해 6000m급 심해 잠수정 2척을 보유하는 편이 현실적으로 심해 탐사에 더 효과적이다. 이판묵 ... ...
‘꿈의 전자파’ 안전하게 사용하는 기준 밝혔다
2015.07.21
다른 이온 입자들이 달라붙어 구조가 변하는 ‘이온화 현상’이 일어났다. 나노 수준의
틈새
에 놓인 탄소가 테라헤르츠파를 받자 주변 나노 물질에 달라붙는 식으로 구조가 변한 것이다. 서민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은 “테라헤르츠파의 이온화 현상이 발견됐다고 해도 의료 ... ...
“멀리 돌아가도 좋다. 서툴러도 괜찮다”
2015.06.07
쓰는 전략은 여러 가지다. 손바닥만 한 작은 동물인 고슴도치는 환경을 세분화 해
틈새
를 공략한다. 다양한 동물이 함께 지내는 사바나에 살지만 고슴도치는 남들이 거들떠보지 않는 땅속의 지렁이를 먹이로 택했다. 가젤은 지그재그로 뛰는 특이한 주법을 이용한다. 이는 직선 경주에 능한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29
콘크리트 배수로는 비 온 직후를 빼곤 메말라 있어서 풀이 자라기 어려워요. 간혹
틈새
에 한두 개 정도만 자랄 뿐이에요. 아쉽게도 콘크리트 배수로는 생태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구조지요. 이렇게 현대의 농법은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가 공존하는 길을 가로막고 있어요. 청개구리와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녀석들은 여독을 풀 새도 없이 주린 배를 채우느라 정신이 없었다. 뾰족한 부리로 바위
틈새
, 갯벌 깊이 숨은 조개나 게 따위를 찾아 쉴 새 없이 땅을 헤집고 있었다. 우리나라처럼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에서는 철마다 다른 철새를 볼 수 있다. 이날 해안에서 본 도요목철새와 같이 번식지와 월동지를 ... ...
안구건조증 비상, 인공눈물은 임시방편 해결책은..
동아닷컴
l
2014.12.19
있도록 눈을 자주 깜박이거나 책이나 TV를 눈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에 둠으로써 눈꺼풀
틈새
를 작게 해주는 것도 좋다. 겨울철은 실내 온도를 18℃ 정도로 유지하거나 가습기를 사용해 습도를 60% 정도로 맞춰주면 눈물의 증발 감소가 가능하다. 또 자동차 히터 바람이 나오는 위치에 직접 눈을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복제하고자 하는 나노패턴이 있는 기판에 코팅한 뒤 필름을 떼어내 주형을 뜬다. 이 주형
틈새
에 기능성 물질을 증착해 나노구조체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나노구조체와 필름 사이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면 인체 피부를 비롯한 다양한 표면 위에 인쇄할 수 있다. - KAIST 제공 팔만대장경을 모두 ... ...
맨홀뚜껑 닮은 나노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있다. 유필진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 수준의 기공이 있는 3차원 구조물
틈새
에 1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구멍을 맨홀뚜껑 모양으로 낸 고분자물질을 채워 넣었다. 기존 평면(2차원) 구조였던 분리막을 3차원 구조로 만들면서 두께는 두꺼워졌지만 표면적이 넓어져 처리 ... ...
나노입자로 암 진단하고 치료까지
과학동아
l
2014.08.05
인지질 영역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필름을 만들었다. 그 다음 물분자가 이
틈새
로 침투하는 특성을 이용해 필름을 잘게 분쇄해 나노입자의 형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나노입자가 투입된 암세포에 808nm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하면 나노입자로부터 방출된 열로 암세포를 죽일 수 있다. -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