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속 깊은 곳 암조직 들여다보는 현미경 기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19
생성할 수 있는 기술과 공기방울들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공초점
형광
현미경에 적용해 기존 대비 6배 이상 깊이에서 영상을 확보하는 초음파 조직 투명화 기술을 적용한 현미경을 개발했다. 장진호 교수는 “초음파와 광영상 전문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기존 광 영상 및 ... ...
박테리아보다 작은 생체 구조 3D 이미지 얻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2
소장 안에 있는 구조물)과 같이 반사도가 매우 낮아 관찰하기가 어려운 생물 샘플에서도
형광
염색 없이 이미지 정보를 얻는 데 성공했다. 특히 이번에 개발한 내시경은 일반적인 광섬유 다발 내시경으로는 불가능한 현미경급의 고해상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다. 물체 간 거리가 850nm(나노미터 ... ...
쥐 두개골 속 신경망 투시하는 현미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30
나타났다. 실제 연구팀은 쥐의 두개골을 제거하지 않고도 가시광선 대역의 레이저로
형광
표지 없이 두개골 밑에 존재하는 뇌 신경망 영상을 고해상도로 얻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지난달 28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 ...
형광
단백질 붙여 신경세포 분화 과정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8
조현병, 자폐증과 같은 신경질환의 조절 가능성을 제시했다. 요이치 책임연구원은 "
형광
이 도입된 세포는 인간 신경세포의 분화와 이동에 관여하는 후보약물을 스크리닝하고 약물의 반응성을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며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할 때도 유용하다"고 말했다. 요이치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 "록음악도 알고보니 뇌 연구 산물…무한한 가능성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과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며 본인의 연구를 소개했다. 그는 "뇌를 투명하게 만들어
형광
현미경을 통해 내부 구조를 관찰하는 기법으로 연구한다"며 "기억의 기본 단위인 '엔그램'과 아무 관련 없다고 알려진 많은 뇌 영역이 실제 기억을 떠올리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눈에 보이지 않는 과학' 나노·양자 연구 곧 실험실 밖에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관찰한 것이다.
형광
현미경이 도입된 이후, 과학자들은 미오신에
형광
염료 분자를 붙인 다음 영상화해 이 단백질이 몸 속에서 아기가 기어다니는 모양이 아닌 성인이 보폭을 크게 걷는 형태로 이동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기서 한 걸음 나아가 최근에는 ‘광시트 ... ...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상용화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또다른 발광 경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KBSI 대구센터의 ‘시분해
형광
공초점 현미경(FLIM)’으로 단일 나노입자 내부를 시간과 공간을 동시 분할해 양자 입자의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한 결과 엑시톤에 음전하를 띠는 전자 또는 양전하는 띠는 정공이 추가로 결합한 ... ...
소행성 류구 시료 "가장 원시적이고 오염되지 않은 순수 물질"
연합뉴스
l
2022.06.10
평가된 상태다. 요코야마 교수 연구팀은 이중 95㎎을 배정받아 전자현미경과 X선
형광
분석기(XRF),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ICP-MS) 등 다양한 장비를 이용해 광물 및 화학적 성분을 파악하고 동위원소 분석 등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류구 시료가 1938년 탄자니아 ... ...
미세먼지 작을수록 허파 깊숙히 침투하고 오래 남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23
후까지도 남아 있었다. 그 숫자는 초미세입자보다 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형광
미세먼지 입자 모델물질을 쥐에게 주입한 이후 폐포 속에서 다른 장기로 어떻게 퍼져나가는지를 관찰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실제 일상에서 접하는 미세먼지는 실험에 쓰인 입자와 달리 형태를 ... ...
3D 영상으로 심장 근육세포 단위로 박동 분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3
경우 일정한 파장의 빛을 쬐어
형광
신호로 추적하는
형광
현미경이 활용된다. 그러나
형광
현미경 기술은 심장 근육세포의 3차원 구조나 운동성 특성, 질량 등 다양한 상태 변화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문인규 교수팀은 앞서 홀로그래피 기반의 심장 근육세포 운동성 분석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