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7,047건 검색되었습니다.
리튬이온보다 저장용량 5배 리튬황배터리 약점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수명 난제를 해결했다. 포스텍은 김원배
화학
공학과·배터리공학과 교수와 지준혁
화학
공학과 석박통합과정생 연구팀이 전극 촉매의 '붙는 힘'을 원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조절해 리튬황배터리의 성능과 수명을 동시에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3월 2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 ...
미국서 양식되는 태평양산 굴 최대 90% 파괴…바다 산성화 탓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있는 굴을 사육하는 것도 해양 산성화의 폐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다만 해양에
화학
적 변화를 가하는 것은 다른 생물종과 바다 환경에 의도치 않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바다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패류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구가 ... ...
“얼음 속에서 광물이 자란다”…결빙 중
화학
반응 첫 실험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않아
화학
적으로 반응성이 없는 상태로 여겨졌다. 최근 들어 물이 어는 과정에서
화학
반응이 오히려 촉진되는 사례들이 보고됐다. 얼음이 형성되면서 어떤 용액에 녹아 들어가는 물질인 용질이 결빙되지 못하고 결정 사이의 미세한 공간인 ‘준액체층’에 농축되는 ‘동결농축효과’가 ... ...
메타버스 세계에서 잔잔한 물결까지 감지하는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개발됐다. 메타버스 환경이나 헬스케어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성균관대는 방창현
화학
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메타버스 환경에서 거친 자갈, 잔잔한 물결 등의 촉각을 전달할 수 있는 고성능 피부부착형 진동 햅틱(촉각) 패치 소자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모기 유충 없애는 박테리아 발견…친환경 살충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모기를 사멸시키는 생물농약을 만들면 기존
화학
살충제로 발생하는 내성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연구팀은 “개발한 생물농약은 빨리 분해되기 때문에 자연에 축적되지 않는다”며 “병원체를 전파하는 모기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다른 곤충은 ... ...
[과기원NOW] 포스텍, 국내 최초 전과정 온라인 '경영과학전공' 신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관계를 연구해 새로운 망막질환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 포스텍은 이준구
화학
공학과 교수팀이 세포 내의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이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고리 모양 단백질을 만들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5월 2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사이언스게시판] KISTI, 아이온큐 1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 'Tempo' 도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스쿨,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스쿨 등 24개 스쿨이 참여한다. 인공지능·첨단바이오·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참가자 전원에게는 활동비 120만원이 지급된다. 강대임 UST 총장은 "참가 학생들이 UST 연구인턴십을 통해 연구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크게 높이고 R&D 전문가로서의 ... ...
온실가스 메탄, 연료로 전환…고효율 메탄올 생산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때문에 수소 생산 기술과의 연계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탄소중립형 연료 및
화학
소재 생산 공정으로의 확장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카탈리시스'에 4일 게재됐다. - www.nature.com/articles/s41929-025-01363- ... ...
암세포 항암제 내성 없앤다…당뇨병 치료도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난치성 대사 질환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김현욱·김유식 생명
화학
공학과 교수팀이 인체 대사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컴퓨터 모델인 대사 네트워크 모델을 활용해 항암제 내성 유방암 세포를 다시 약물에 민감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 ...
최민희 의원 "연구실 안전사고 이어져…과기정통부 제도 점검 촉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중 신입 대학원생이 크롬옥사이드(IV), 아세톤을 동일한 폐액통에 폐기하는 과정에서
화학
반응이 발생해 화염이 발생하고 얼굴과 목 등에 2도 화상을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실 설치·운영기준 가이드에 따르면 미사용 시약은 용기째 폐기하도록 안내되고 있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 근거한 폐액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