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유
특수
독특
특이
본래
타고남
스페셜
"
고유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내일의 지구를 위한 화학
동아사이언스
l
2020.01.26
화합물을 설계할 때 각 분자가 비독성인지, 고갈되지 않고 무한한 자원인지 등 분자들의
고유
한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이언스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합물로부터 나오는 각종 유해물질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도 다뤘다. 영국 생태수문센터 환경연구과학자인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질량이란 밀도와 부피를 곱한 것이다.” 이후 운동량(속도와 질량의 곱)과 관성물체
고유
의 저항하는 힘) 등을 계속 정의한다. 정의 다음에는 ‘공리, 즉 운동법칙’이 나온다. 우리에게 익숙한 세 개의 운동법칙이 차례로 등장한다. 제1법칙은 관성의 법칙으로,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 ...
인공위성 강국을 여는 24명의 엔지니어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발전시켜 정지궤도급 위성의 제품보증 기준을 마련한 공로가, 박종석 책임연구원은 국내
고유
의 정지궤도위성 플랫폼의 기계시스템 설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공로가 각각 인정됐다. 기업 출신인 윤희광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책임연구원은 위성 전력계의 필수 전장품인 히터파이로펄스유닛(HP2U ... ...
'포니 프로젝트'는 진행형...국산 車 신화 새롭게 쓸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했다. 포니 프로젝트는 지금도 진행중이라고 한 것도 그런 뜻이 담겼다. 국내 첫
고유
모델 자동차 '포니'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기틀을 마련한 이충구 전 현대자동차 사장이 18일 서울 강남구 KAIST 도곡캠퍼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그는 자동차 전문가로서는 처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
2019.10.31
현상은 각운동량 보존이라는 원리와 맞닿아 있다. 각운동량이란 회전하는 물체가 갖는
고유
의 물리량으로 회전하는 물체의 질량과 회전반경의 제곱과 회전하는 각속도(단위시간당 각도의 변화)의 곱으로 주어진다.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각운동량은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이것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
2019.10.22
질량을 알면 그 구성원인 아미노산의 조성과 서열을 알아낼 수 있다. 이때 사람에
고유
한 아미노산 서열이 존재한다면 사람의 뼈다. 분석결과 실망스럽게도 700여 개 모두 동물의 뼈였다. 시쳇말로 '열 받은' 브라운은 데니소바 동굴 발굴 현장으로 날아가 그 사이 찾아낸 뼛조각들을 뺏다시피 챙겨 ... ...
이상민 "5년간 출연연 인건비 경상비 36% 늘고 사업비 9% 줄어"
동아사이언스
l
2019.10.02
분석이다. 이 의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연구자에게 기본 연구비와 기관에게
고유
사업비를 보장해야함에도 불고 연구해야할 연구소의 연구비는 줄어들어 연구환경을 황폐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며 “출연연의 출연금은 평균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오히려 마이너스 증가율이나 ... ...
뇌성마비 환자 보행재활 돕는 로봇 재활법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완화용 로봇만을 활용해 재활한 경우와 관절을 풀어준 후 로봇을 활용해 재활한 경우
고유
수용감각과 다리 제어능력이 더 향상되는 것도 확인됐다. 이 선임연구원은 “뇌성마비뿐 아니라 뻣뻣한 관절을 가진 절단환자와 근골격계 및 신경손상 환자에게도 방법론이 적용되는지 연구할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다르다. 일단 언어부터 다른데, 바스크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도 않는다. 유럽
고유
의 오래된 언어로 알려져 있다. 바로 옆에 있는 프랑스나 스페인어와 완전히 달라서 배우는 것이 몹시 어렵다.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면 이들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유럽에서 오랜 기간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 탄생 초읽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9.14
따라 변하므로 시간에 오차가 생긴다. 과학자들은 영원불변한 기준인 '세슘원자의
고유
진동수'를 이용한 원자시계를 개발했다. 현재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한 1초의 정의는 '세슘133 원자가 91억 9263번 1770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하지만 세슘 원자시계 역시 3000년에 1초 정도 오차가 난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