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라픽
그림
그래픽스
그라픽스
grapic
컴퓨터그래픽
콤퓨타그래픽
스페셜
"
그래픽
"(으)로 총 14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그대로의 해양생태계, 트와일라잇 존에 살고 있는 산호와 물고기들을 만날 수 있다. -
그래픽
자료 : SCIENCE / V.Altounian 제공 ● 지금까지 밝혀진 건 빙산의 일각일뿐 파일 박사는 “최근 트와일라잇 존에 살고 있던 바다 생물들이 지구온난화, 환경오염, 무분별한 어획 활동 등으로 새로운 피난처를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Thomson Reuters)에서 IBS 5년간의 연구성과들을 다양한 지표로 분석한 결과물을 인포
그래픽
으로 담아내 신뢰성을 높였다. 후반부에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네이처(Nature) 등 통계분석자료를 통해 IBS 전체의 연구활동을 소개한다. 톰슨로이터의 분석 결과를 보면 IBS는 해외 유수 연구기관들보다 논문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
2016.12.19
1964년 선데이타임스 책표지 공모전에 수상하기도 했고 그 뒤 틈틈이 반(半)직업 삼아
그래픽
작업을 했다. 그 결과 포스터, 책표지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크로토는 말년에 루게릭병에 걸려 고생하다 합병증으로 사망하면서도 무신론의 신념을 꺾지 않았다. 반면 스몰리는 암 투병을 하면서 ... ...
일자리 부족하고 경쟁도 심해… 위기의 젊은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6.10.30
표지는 달 표면에 생긴 3개의 동심원 모양을 한 크레이터(충돌로 생긴 구덩이)
그래픽
이 장식했다. ‘동쪽 바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메어 오리엔탈(Mare Orientale)’로 불리는 이 크레이터는 달에서 비교적 최근에 생긴, 가장 크고 보존 상태가 좋은 크레이터 중 하나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해양’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세계 바다가 플라스틱에 얼마나 오염됐는가를
그래픽
자료에 함께 보여주고 있는데 충격적이다. 2014년 학술지 ‘플로스 원’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오늘날 바다에는 5조 개가 넘는 플라스틱 조각이 떠다니고 있고 이것들의 무게들 다 합치면 25만t이 넘을 것으로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표지를 목표로 화려한
그래픽
제작을 의뢰한다. 조금이라도 확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저널 ‘사이언스’의 7월 8일자에 표지논문을 게재한 박성진 미국 하버드대 바이오엔지니어학과 연구원은 “같은 논문이라도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잘 따라오고 있나’ 확인이라도 하듯이 멈춰 사람들을 돌아보는 모습을 보면 컴퓨터
그래픽
(CG)효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아무튼 당시 다큐멘터리에서 본 장면은 필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학술지 ‘사이언스’ 7월 22일자에는 꿀잡이새와 사람의 벌집털이가 상호 의사소통에 ... ...
규제 없는 시장이 열대바다 물고기 씨 말리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제공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열대 바다 속 생태계를 그린 화려한
그래픽
이 실렸다. 호주 제임스쿡대 사회과학과 조슈아 시너 교수팀을 비롯한 39명의 국제공동연구진은 전 세계 산호초 지대를 조사해 어류시장 크게 형성된 지역일수록 물고기 양이 적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네이처’ 2 ... ...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프리즘 만화경 속을 들여다보는 듯 형형색색의 대칭 패턴이 장식했다. 이 화려한
그래픽
의 정체는 단백질 나노구조체다. 2가지 종류의 단위 단백질 60개씩 총 120개가 이십면체를 이루고 있다. 바이러스 유전물질을 캡슐처럼 감싸 전달하는 ‘캡시드 단백질’을 모방해 만들었다. 미국 워싱턴대 ... ...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이기려면…
과학동아
l
2016.02.26
것도 방법이다. 알파고는 중국의 판후이 2단과의 대국에서 중앙처리장치(CPU) 48개,
그래픽
카드 8개 등으로 무장했다. 인공지능의 연산에 핵심이 되는 CPU를 더 많이 쓸수록 연산 속도가 빨라지고 복잡한 알고리즘도 처리할 수 있다. 김기응 교수는 “알파고가 기보를 통해 터득한 알고리즘을 쓰려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