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기자"(으)로 총 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에 바이오 기회 많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미국 생명과학분야 대학연구원 및 박사과정 학생들의 모임인 콜리스(KOLIS)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17일(현지시간) 오후 공동 심포지움을 개최했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 ... , 베이커스(BAKAS),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공동심포지움 기념사진.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 ... ...
- “바이오는 ‘타이밍’… 산업 흐름 알아야 성공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미래 바이오산업에 충분한 글로벌 경쟁력이 있다"고 입을 모았다. 서영표 동아사이언스 기자 sypyo@donga.com “바이오는 전자산업처럼 키워야 한다. 다른 나라의 앞선 제도와 기술을 재빨리 도입해서 단기간에 산업화를 이루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 한국은 과거 전자산업에서 ‘메모리다 그러면 메모리 ...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기업의 부담을 덜어 줄 ‘시스템‘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기자enhanced@donga.com “죽음의 늪이라고 불리는 사업화 단계가 문제다. 신약개발은 전임상, 2단계의 임상시험 등을 거쳐야 한다. 개발 초기보다 후반기에 더 큰 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 많은 기업들이 여기서 ...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 박영훈 생명연 원장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세계는 지금 융합으로 가고 있습니다.” 박영훈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58)은 지금의 생명공학계를 이렇게 표현했다 ... 사이트에 게재할 수 없습니다. 이현경 동아사이언스 기자 uneasy75@donga.com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 ... ...
- [미리 배우는 대학수업] 응용미분방정식은 어떤 수업일까!?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국내 최고의 지성인들이라는 KAIST 학생들은 도대체 어떤 수업을 듣고 무엇을 배울까? 이번 호부터 새로 신설된 ‘미리 배우는 대학 수업’은 KAIST 수업에 관심 있는 고등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궁금증을 풀기 위한 코너이다. KAIST 2012 가을학기에 개설된 수업만 1,000개가 넘었는데, 그 중 주로 고등학 ... ...
- 세상을 바꾸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기술_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1948년, 트랜지스터의 발명은 전 세계를 요동치게 만들었고 이후 IT업계의 판도를 완전히뒤바꾸어 놓았다. 집적회로 개발 이후 반도체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으며 금새 생활 곳곳에 반도체가 사용되지 않은 곳이 없는 ‘반도체 시대’가 열렸다. 이와 함께 인텔, 삼성 등의 기업들은 최신 반도체를 속 ... ...
-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트랜지스터가 발명된 이후 반도체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다른 어느 분야의 기술보다도 빠른 진보를 보인 반도체 분야의 혁신은 ‘무어의 법칙’이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오랜 기간 꾸준히 계속됐다. ‘무어의 법칙’이란 인텔의 공동창업자 고든 무어(Gordon Moore)가 주창한 것으로 ‘반도 ... ...
- 반도체를 알면 전자제품이 보인다.KAIST l2013.04.30
- 전자제품이 없는 생활을 상상할수 있을까? 우리는 디지털 시대라는 이름에 걸맞게 매일 수많은 전자제품을 이용하며 살 있다. 몸의 일부처럼 휴대하는 스마트폰부터 매일 사용하는 컴퓨터나 TV, 가사를 돕는 세탁기나 냉장고 등 일상생활의 모든 곳에서 전자제품이 활약한다. 전자제품에서 절대 빠 ... ...
- KAIST 유일의 축구 동아리 허리케인(HURRICANE)KAIST l2013.04.30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 중 하나인 축구. KAIST 학생들 역시 축구를 좋아하고 즐긴다. 그 중심에는 27년 역사의 단 하나뿐인 KAIST 축구 동아리, 허리케인(HURRICANE)이 있다. 2012년도 허리케인 회장을 통해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Q1 간단히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KAIST 축구 동아리 ...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4.30
- 정부 조직 개편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것은 '미래창조과학부'다. 박 당선인은 대선 기간 동안 미래라는 키워드를 반복 사용했으며 새로운 경제발전의 비전으로 창조경제를 내세웠다. 게다가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출신으로 '이공계 첫 대통령'이라는 타이틀까지 거머쥐었고 대선 공약으로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