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록빛
초록색
초록
풀빛
청색
푸르름
신선
스페셜
"
녹색
"(으)로 총 34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미래 세대에게 떠넘겨버린 탄소중립의 부담
2021.01.06
NDC)가 너무 비현실적이다. 15개 부처가 참여해서 폭넓은 사회적 논의와
녹색
성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친 것은 절대 자랑할 일이 아니다.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이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일이 훨씬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경제・정책・환경 전문가들의 현대 기술에 ... ...
이스라엘은 어떻게 가장 빠른 속도로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는 나라가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필요한 이들에게 접종을 독려한다. 2회 접종을 마친 사람에게 백신을 맞았다는 증명인 ‘
녹색
여권’을 발급하고 군 의료진을 투입해 백신 접종 속도를 높였다. 영하 70도에서 보관하는 백신을 선적물 단계에서부터 빠르게 세분화해 지역 곳곳에 보급하는 속도를 높인 것도 주효했다. 다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
2020.12.29
정복한 이 세계의 사람들은 25세까지는 우리와 마찬가지이지만 25세 생일날 팔뚝에
녹색
숫자가 켜진다. 1년을 더 살 수 있다는 표시다. 그 뒤에도 더 살려면 ‘시간’을 사야 한다. 그렇지 못해 시간이 다하면 심장마비로 죽는다. 부자만이 영생을 누릴 수 있는 사회다. ‘인 타임’은 꽤 재미있지만 ... ...
[과학게시판]'국가 R&D 리얼챌린지 프로그램' 성과발표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제공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이공계 대학원생이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대상으로 연구계획을 작성하는 ‘국가 R&D ... 사업을 추진한다. 현재 딜리버리 파트너로는 유엔개발계획, 유엔공업개발기구, 글로벌
녹색
성장기구 등 국제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 ...
내년 정부R&D 예산 27조원 시대...3대신산업·감염병·소부장에 ‘뭉칫돈’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등 3대 신산업에는 올해보다 1903억원(36.6%) 늘어난 7104억원이 투입된다. 디지털·
녹색
경제 전환과 미래 고용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하는 교육·인프라 확충을 위한 한국판 뉴딜에 올해보다 1조1030억원(132.3%) 증가한 1조9366억원이 투입된다. 탄소자원화, 에너지 효율 향상, 미세먼지 저감, 수소 기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2020.11.26
여기서 둥근 콩과 주름진 콩은 12(=9+3):4(=3+1)로서 결국 3:1의 비율을 보인다. 노란색과
녹색
의 비율도 마찬가지이다. 멘델은 두 쌍의 대립형질뿐만 아니라 세 쌍의 대립형질에 대해서도 비슷한 실험을 했고 이 경우에도 각각의 대립형질이 서로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후대에 전해짐을 확인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이 보이지 않는다
2020.11.25
보호막에 안주하던 과학기술에게는 힘겹고 혼란스러운 고난의 시절이었다. 속절없이
녹색
성장과 창조경제에 내몰렸고, ‘과학기술’과 ‘비즈니스’와 ‘세계화’를 앞세운 화려한 정치 구호의 쓴맛도 경험했다. 기초가 부실한 ‘창조’의 공허함도 실감했다. 그런데 가랑비에도 옷이 젖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
2020.11.17
들어가 아세틸-CoA로 바뀐 뒤 효소(HAT)의 작용으로 히스톤(보라색 공)에 달라붙는다(
녹색
작은 공). 그 결과 DNA 가닥이 느슨해져 기억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이 촉진된다. 수 시간 뒤 다른 효소(HDAC)의 작용으로 아세틸기가 떨어지며 DNA 가닥이 원래대로 감겨 유전자 발현이 억제된다. 네이처 제공 지난해 ... ...
'뇌 속 독성 산소' 영향받는 반응성 별세포가 치매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녹색
형광단백질(GFP)을 이용해 일반인의 뇌 속 별세포(왼쪽)와 알츠하이머 환자의 별세포를 비교한 영상이다. 치매 환자의 별세포는 매우 크고 가지도 많은 모습을 하고 있다. 반응성이 높아진 상태인데, 이 상태가 치매 발생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논문 캡쳐 그 동안 ... ...
코로나19 'G유형 "세포에선 증식 왕성하지만 백신 효능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세포실험에서 D614G의 강한 증식 능력을 확인한 것이다. D614G 변이(노라낵)과 WT유형(
녹색
)의 계통도(왼쪽 위), 지역별 분포 비율(오른쪽 위), 게놈 지도(아래)를 표시했다. G유형이 주류로 자리잡았다. 넥스트스트레인 제공 이어 연구팀은 중증 코로나19 증상을 보이는 모델 동물인 햄스터 8쌍을 이용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