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초상
인물화
인간
인격
캐릭터
모양
스페셜
"
인물
"(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사비즈니스로 추락한 과학연구
2020.06.18
15) 배너바 부시는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서 기초과학 연구가 꽃피울 수 있는 제도를 만든
인물
이지만, 과학자가 아니라 공학자의 정체성을 지닌 학자였고, 공학자로서 보다는 행정가로서 더욱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는 정치가 과학과 기술을 지나치게 통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스스로 ... ...
[게놈과 인류사]3500년 전 우물서 생을 마감한 그녀에게 무슨 일 있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지역으로 새로운 인류 이동도 추가됐다. 일부 멀리 중앙아시아나 이란 동부에서 이주한
인물
도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셀 제공 이 지역 연구는 언어 진화 연구에도 새로운 단서를 제공했다. 현재 영어 등 유럽 여러 국가가 사용하는 언어는 인도유럽어로 분류된다. 인도유럽어가 어디에서 어떻게 ... ...
"내년에도 정부 R&D투자 의지 변함 없어…24조+알파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5.29
혼란했던 당시 부처들을 넘나드는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선보이며 주목받은
인물
이다. 지난해 5월 소재 분야 연구와 가장 가까운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하나인 한국화학연구원에서 30년간 연구원과 기관장으로 일한 경력을 인정받아 R&D 혁신 업무를 맡은 과기혁신본부장에 발탁됐다. 사태가 ... ...
[인간·공감·AI]"코로나19 시대 아픈 환자 모니터링 시각 AI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전 교수팀이 연구하는 기술이다. 현재 시각 AI에는 난제가 있다. 한 대의 카메라로 인식한
인물
을 다른 조명 환경과 날씨 조건에 놓인 카메라로 다시 인식할 경우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다. 같은 카메라라도 맑은 날과 눈비가 오는 날, 야간 등에 인식률이 달라진다. 이 문제는 자율주행자동차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최초의 망원경 발명자로 언급되는 이유는 그가 망원경에 대한 특허를 주장한 최초의
인물
이었기 때문이다. 그의 특허권은 인정되지 않았다. 현미경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을 처음 들여다본 사람 중 한 명이 이탈리아의 마르첼로 말피기(1628~1694)이다. 말피기가 태어난 해는 영국의 하비가 ... ...
[과학게시판] 'K-실감 스튜디오' 개소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실감콘텐츠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330제곱미터 규모 공간에 4K 고화질 카메라 60대로
인물
을 모든 방향에서 촬영하고 입체콘텐츠를 구현하는 장비가 구축됐다. 이날 열린 개소식에선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한국가상증강현실산업협회, 이동통신사 3사, EBS간 실감콘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한 ... ...
김용 전 세계은행 총재는 왜 코로나19와의 전장에 뛰어들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3
다시 연락해 자가격리는 물론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게 목표다. 이 프로그램을 주도한
인물
은 김용 전 세계은행 총재다. 한국계 미국인 의사이자 세계은행 전 총재를 지낸 김용 박사는 파트너스인헬스 공동 설립자다. 2012년 세계은행 총재에 오른 뒤 2019년 2월 퇴임하고 신흥경제국 투자를 위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
2020.04.23
생각했고, 생리학을 근대과학으로 완성시킨 선배의 이론과 이름을 정확히 알고 있는
인물
이다. 앨브리튼에 대해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 많지 않다. 하지만 그는 연구자의 정체성으로 행정업무를 통해 프리프린트라는 혁신적인 출판도구를 설계했다. 당대의 유명한 과학자들에게 왜 ... ...
[과학기술의 큰 걸음]문익점 목화씨 들여오듯 천연물 연구의 불모지를 개척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KAIST 도곡캠퍼스 과학기술유공자 라운지에서 만났다. 김 교수는 한 분야를 개척해온
인물
로서 지금의 풍모와 달리 유년 시절에는 운동장 조회에 조금 서 있기만 해도 쓰러질 정도로 병약했다고 했다. 이런 병약함이 약대로 진학하는 계기가 됐다. 김 교수는 “몸이 아프다 보니 자연스레 아픈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1628년 영국의 의사 윌리엄 하비(1578~1657)였다. 하비로 넘어가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 될
인물
이 둘 있다. 첫째는 그 유명한 르네상스의 대표적인 천재 레오나르도 다빈치(1452~1519)이다. 다빈치가 인체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좋은 예술작품을 남기기 위해 인체구조를 잘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꼈기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