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리
취급
운전
단속
관리
조작
규제
스페셜
"
조종
"(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일이 넘게 소요되는 이유다. 또 영화에서는 탐사선이 상당히 쾌적하게 묘사돼 있어서 주
조종
실과 생활공간이 꽤 널찍할 뿐 아니라 바퀴처럼 원을 그리며 회전해 원심력으로 중력을 만들어내 대원들이 바닥에 ‘발을 붙이고’ 생활한다. 그러나 이렇게 쾌적한 탐사선은 현실적으로 이번 세기에 ... ...
마침내 가동한 경주 방폐장, 어떻게 운영되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6
콘크리트 용기를 지하 130m 아래로 운반한다. 사일로에 폐기물을 쌓는 작업은 컴퓨터로
조종
된다. 사일로 1개에는 1만6700드럼이 들어간다. 사일로 6개에 총 10만 드럼을 저장할 수 있는 셈이다. 사일로가 가득 차면 빈 공간을 채움재(돌)로 막고 입구를 콘크리트로 밀봉해 영구적으로 폐쇄한다.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스키복 등이다. 스키 장비 중의 핵심은 플레이트다. 눈 위에서 잘 미끄러짐과 동시에
조종
에 따라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바닥이 평평한 스키 플레이트는 왜 그렇게 쉽게 미끄러지는 것일까. 눈과 플레이트 모두 고체이므로 당연히 마찰력이 생겨서 속도가 줄어드는 게 정상이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의대 의공학교실 교수팀은 등산용 모자처럼 생긴 장치를 쓰고 생각만으로 휠체어를
조종
하는 데 성공했다. 이 장치는 지금까지 개발된 뇌파 측정 장치 중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것이 장점이다. 뇌신호 기술을 상용화 하려면 먼저 뇌파를 측정하는 현재 측정 장치의 불편함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그 신호가 진짜 MH370호 것인지 아직 아무도 확인하지 못했다. MH370호가 납치, 혹은
조종
사의 자살자폭 등으로 해석하는 전문가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 ...
“땅콩 리턴? 사실은 내가 했다.”
2014.12.28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땅콩 리턴’에서 토잉카는 비행기를 8미터 가량 밀어내다
조종
사의 연락을 받고 다시 탑승게이트 쪽으로 끌어당겼다. 얼핏 별 일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공항 지상에서는 수십 대의 항공기가 톱니바퀴처럼 움직여야 한다. 땅콩 리턴을 감행한 비행기는 A380으로 가장 ... ...
이제는 로봇도 '소셜' 기능 탑재하는 시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무게 2.7킬로그램에 불과하지만 주인의 음성 명령을 인식해 사진을 찍거나 가전기기를
조종
하는 것은 기본이고, 인터넷에 접속해 특정 정보를 찾기도 하고 식당에 연락해 음식을 주문하기도 한다. 배송 당시에는 영어만 이해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언어로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
IBS
l
2014.09.04
또 연구팀은 빛을 이용해 세포 내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FGFR1)'의 신호전달을 원격
조종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셀(Cell)'의 자매지 '케미스트리 앤드 바이올로지' 7월호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특히 특정 위치에 지속적으로 빛을 비출 경우 그 부위로 세포가 모여드는 광주성(光走性)과 ... ...
비행기 사고 서바이벌 가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4.07.11
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먼저 비행기의 앞바퀴가 부러지면서 동체가 충격을 받아
조종
사와 가장 앞쪽 승객이 탄 부분이 통째로 뜯겨 나간다.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니 가장 앞쪽의 더미(충돌실험용 인형)가 받는 힘은 12G(중력, Gravity)에 달했다. 날개 부근에 탄 더미는 8G, 꼬리 쪽에 탄 더미는 ... ...
수중건설의 신기원, 국산 로봇이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21
ROV(Remotely Operated Vehicle)와 AUV(Autonomous Underwater Vehicle)로 나눠진다. ROV는 선을 통해 원격
조종
하며 다양한 작업을 하게 할 수 있는 반면, AUV는 선 없이 스스로 알아서 해저를 스캐닝하게 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건설로봇사업단 장인성 단장은 “배터리가 필요 없이 전기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