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피해자"(으)로 총 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성차별, 백인/남성이 지적하면 개선 효과 크다2016.07.26
- 연구자들은 차별의 대상자들이 차별을 지적함으로써 불이익을 보지 않도록 하는 것, 피해자들이 자기검열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더 적극적인 대응에 필수적이라고 지적한다. 차별을 받는 당사자보다 제 3자들이 발언했을 때 더 큰 반향을 불러온다는 발견들도 ... ...
- ‘나는 페미니스트다’ 선언이 성차별 대응에 도움된다2016.05.24
-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며, 이런 여성들이 강간 피해자가 되었을 경우는 역시 가차없이 피해자를 비난하는 경향을 보였다는 연구도 있었다 (Grubb & Turner, 2012). 따라서 “나는 (일반적으로는) 여성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나는 (내가 원하는 형태의 여성에 한 해) 여자를 좋아하는데요 ... ...
- 피해의식과 강한 신념 그리고 집단의식이 테러를 만든다2016.03.29
- 가담하는 사람들의 동기 및 신념 체계로 다음을 꼽는다. 1) 본인이 불의한 시스템의 피해자란 생각, 2) 정치적으로 힘이 없단 느낌, 3) 고로 ‘자신들의 방식’으로 ‘자신들의 정의’를 집행해야 한다고 믿음, 3) 서로를 잘 이해하는 가족/친구가 있음, 4) 테러 행위에 가담하거나 단체를 지지함으로써 ... ...
- 원자폭탄이 탄생시킨 SF 걸작, 닥터 스트레인지러브2016.03.08
- 원자폭탄이 등장한 겁니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핵무기의 위력은 가해자와 피해자 양측 모두를 공포에 떨게 만들었죠. 그 공포스런 녀석들의 이름은 귀엽게도 ‘리틀 보이’와 ‘팻맨’ 이었다죠? ● 건배럴 방식, 히로시마급, 인플로전 방식과 짜르봄바까지 먼저 리틀 보이라는 ... ...
- ‘책임 회피’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적반하장,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까2016.02.16
- 사건을 얘기 하면 이번엔 ‘학부생들이 대학원생들에 비해 차별받고 있다! 우리도 피해자다!’같은 이야기가 나온다고 한다. 집단 정체성에 의해 자신도 왠지 가해자가 된 것 같은 알 수 없는 죄책감 같은 게 생기게 될 텐데 그런 ‘불편한 죄책감’을 떨치기 위해서 이런 방어적인 행동을 보이는 ... ...
- 물티슈는 ‘물+티슈’가 아니었더라KISTI l2015.11.03
- 사건으로, 그 중 영유아 사망자가 36명에 이르렀다. 환경보건시민센터에 따르면 전체 피해자는 6백 여 명에 이른다고 한다. 가습기 살균제에 포함돼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낸 성분은 도배풀, 페인트에도 사용되는 화학 방부제인 ‘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CMIT)’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MIT ... ...
- 코골이가 돌연사의 주범이라고?KISTI l2015.10.06
- 코를 고는 사람은 자신의 소리를 듣지 못한다. 하지만 알고 보면 코고는 사람이 가장 피해자다. 코골이에서 수면무호흡으로 이어지는 질환이 심뇌혈관 질병은 물론 돌연사의 주범인 부정맥의 원인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코고는 사람이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이어서 민망할까봐 시끄러워도 ... ...
- 핀테크 시대, 지문으로 결제하세요~KISTI l2015.09.22
- 식의 해킹이나, 불법 원격 조정기술로 사용자 단말기의 권한을 탈취해 악용할 수 있다. 피해자가 오히려 범인으로 둔갑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더 간편해지는 만큼 위협도 커진다. 일단 더 편리한 결제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핀테크가 몰고 올 변화는 그보다 크다. 이미 빅데이터와 IT기술을 ... ...
- 인간이 만든 가장 비열한 무기, 지뢰KISTI l2015.09.15
- 북한도 마찬가지다. 다행히 지뢰 피해자와 유족에게 금전적 보상을 지급하는 ‘지뢰피해자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우리나라 국회를 통과해 지난 4월 16일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앞으로 지뢰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결의와는 별개로 기존에 매설된 지뢰를 없애는 작업도 꾸준히 진행돼야 한다. 지뢰를 ...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2014.12.01
-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필자 역시 지난 해 한 매체에 실은 ‘왕따, 가해자도 피해자만큼 아프다’라는 제목의 에세이에서 이 연구를 소개했다. ●심리적 고통은 은유로서의 아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17일자에는 2003년 논문의 데이터 해석이 잘못됐다는 연구결과가 ... ...
이전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