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명
해석
주해
해명
논평
번역
주석
스페셜
"
해설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커리클로의 주변에 링을 형성했다는 것. 이번 발견에 대해 같은 날짜 ‘네이처’에
해설
을 쓴 미국 코넬대의 조셉 번스 교수는 “이론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착수한 관측이 발견으로 이어진 경우는 거의 없고, 오히려 이번처럼 예상치 못한 발견이 새로운 이해를 촉진시킨다”고 평했다.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걸 함축하고 있다. 영국 워릭대 화학과 그렉 샬리 교수는 ‘네이처’ 같은 호에 쓴
해설
에서 이번 발견으로 다양한 화합물의 진짜 창조자를 확인했을 뿐 아니라 미래에 이런 유용한 물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설명했다. 즉 해면(또는 공생 박테리아)에서 유용한 물질을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앞서 있다. 폭발적인 스타트로 200m 기록은 이상화 선수가 0.3초 정도 빠르다. 진행자와
해설
자가 흥분한다. 그런데 600m 지점에 가까워지면서 장홍 선수의 기록(레인을 따라 이동하는 파란색 선으로 표시된다)과 점점 차이가 줄어들더니 결국 역전돼 0.02초 뒤진다. ‘600m에서 최소한 1초는 앞서야 ... ...
과학기술의 등불 밝힐 '멘토르'를 찾아서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1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고경력 퇴직 과학기술인을 과학기술 평가 및
해설
전문가로 활용하는 '리시트(ReSEAT)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오랜 연구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해 과학기술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심층 분석하는 한편, 청소년들의 과학기술 이해도를 높이는 멘토 역할을 맡는다. 물리, ... ...
“과학관에 가면 여름방학이 즐거워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함께 하는 클래식 음악회인 「별이 있는 음악여행」, 천문기초강연 및 계절별 별자리를
해설
하는 「사이언스타」, 젊음·태양·여름 음악콘서트인 「토요음악회」, 중·고생을 대상으로 전문가가 들려주는 「10대 미래유망업종 특강」이 번갈아 개최된다. 이번 프로그램들은 좌석이 제한된 일부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책이겠네….’ 창을 닫고 다시 목차를 보다가 뜻밖의 발견을 했다. 자넷 롤리 교수가 쓴
해설
논문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고 보니 올해는 롤리 교수가 필라델피아 염색체가 전좌의 결과임을 밝힌 지 40년 되는 해다. 아마도 이를 기념해 ‘사이언스’가 관련 분야의 전개과정을 회고한 글을 부탁했고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되는 세포 표면에는 호르몬이 달라붙은 수용체가 있다. ●같은 오메가3지방산도…
해설
에서 호르몬 역할을 하는 식품 속 성분의 대표적인 예로 든 게 바로 오메가3지방산이다. 등푸른 생선에 많이 들어있는 DHA나 EPA 같은 오메가3지방산이 몸에 좋다는 건 대중매체를 통해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는 1986년 하버드대의 월터 길버트가 토머스 체크의 ‘RNA효소(ribozyme)’ 발견의 의미를
해설
하면서 만든 말이다. 메신저RNA 서열을 해독해 아미노산 사슬을 만드는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을 연구하던 우즈는 리보솜을 이루는 구성성분인 5S 리보솜RNA(S는 침강계수로 앞의 숫자가 클수록 원심분리를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미국인인지, 대학원생인지 박사후연구원인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크로 교수의 유작인
해설
은 이들에게 평생 잊을 수 없는 감동을 줬을 것이다. 11. 도널 토머스 (1920. 3.5 ~ 2012.10.20) 집념으로 100만 명의 목숨을 살려낸 의사 유도만능줄기세포를 개발한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가 올해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바이오인포메틱스도 발전을 거듭했기 때문이다. 오래전부터 궁금했던 주제라 두 논문과
해설
까지 다 읽어봤는데 꽤 흥미로웠다. 먼저 벼 게놈과 밀 게놈의 엄청난 크기 차이는 밀과 보리(게놈 크기가 50억 염기쌍)의 공통조상에서 게놈 크기가 뻥튀기 된 데서 비롯된 것임을 알았다. 벼과 식물 가운데 ... ...
이전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