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OR"(으)로 총 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 70. [3] O'keefe, P. A., Dweck, C. S., & Walton, G. M., (in press). Implicit theories of interest: Finding your passion or developing it? Psychological Science.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우리나라에서는 월계화). 이밖에 우리나라가 원산지에 포함되는 찔레꽃(Rosa multiflora), 돌가시나무(Rosa wichuraiana), 해당화(Rosa rugosa), 생열귀나무(Rosa davurica)도 식물학적으로는 장미다. 한반도에는 장미속 17종이 자생한다. 참고로 현대장미는 여러 종과 품종이 뒤섞여 독립적인 종으로 인정받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integration. In M. Leary & J. Tangney (Eds.),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pp. 401– 418). New York: Guilford Press. [10] Sullivan, D., Landau, M. J., Branscombe, N. R., & Rothschild, Z. K. (2012). Competitive victimhood as a response to accusations of ingroup harm do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2, 778. [11] Twenge, J. M., & Campbell, W. K. (2009). The narcissism ... ...
-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동아사이언스 l2018.03.16
- 어떻게 이주했으며, 어디에서 교배가 일어났는지는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University or Washington 제공 브라우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크로마뇽인과 데니소바인 등 두 인류 종이 약 5만년 전 교배가 됐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시베리아에서 발견한 한무리의 데니소바인 화석이 유일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V. L. (2011). The victimization experiences of women in the workforce: Moving beyond single categories of work or violence.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intrinsic forgetting)’이라는 개념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즉 뇌에는 ‘망각세포(forgetting cell)’가 있어서 디폴트 모드로 수시로 망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고유망각에 대한 첫 보고는 2010년 초파리의 냄새기억 연구에서 나왔다. 즉 초파리의 Rac1이라는 단백질이 여러 망각 메커니즘에 ...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2017.11.25
- J., & Mauss, I. B. (2013). A person-by-situation approach to emotion regulation cognitive reappraisal can either help or hurt, depending on the context. Psychological Science, 24, 2505-2514.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 ... ...
- 당신은 행복하게 돈 쓰는 방법을 아시나요?2017.07.15
- research. In M. Eid & RJ Larsen (Eds.),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pp. 307–322).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egoic Phenomena From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In The Oxford Handbook of Hypo-egoic Phenomena (p. 47-61). Oxford University Press. Welp, L. R., & Brown, C. M. (2014). Self-compassion, empathy, and helping intention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9, 54-65.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다를 수밖에 없다. 먼저 음식에 맛(taste)이 아니라 풍미(또는 향미로 번역하는 flavor)라는 단어를 쓴 건 우리가 음식의 맛이라는 생각하는 건 미각뿐 아니라 후각의 정보가 통합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즉 풍미는 넓은 의미의 맛이다. 후각과 미각은 화학적 감각으로 냄새분자나 맛분자가 직접 수용체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