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우리에게 가까이 다가오기 때문에 (1백만 마일 정도로) 우리가 우주여행기술을 진정 발
전
시킨다면 그들에, 예를 들어 화성보다 더욱 쉽게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것이 가능하다면 이 소행성들은 매우 유용한 광물이나 광석의 공급처가 될 수 있다. 소행성들의 중력이 미약하므로 우리는 매우 ... ...
합금을 먹고 달리는 수소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를 이용한 액체수소엔진탑재 자동차를 개발했으나 완
전
한 상태는 아니다. 이를테면 운
전
성이 나쁘고 주행거리가 짧으며 -2백53℃의 저온액체수소를 연료로 사용했을 때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다.한편 독일의 벤츠(Benz)사는 벤츠 300 모델에 무게 3백50㎏의 압축수소용기를 탑재했는데 주행거리가 1백2 ... ...
(2) 황무지 상태의 시스템 설계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국산
전전
자교환기 TDX가 외국산 교환기를 대체해가고 있는데 비해 국산 중형컴퓨터 타이컴은 왜 수요자가 없어 사장될 위기에 몰리고 있는가? 한때 세계적인 PC 수출국이던 ... 때 지금부터라도 안이한 사고를 탈피해 좀더 본질적인 내용이 정착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전
환해야 할 것이다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미국보다 앞서 '글로리아'라는 이름의 소나시스템(sonar system)을 이용해 사
전
조사한 바 있었다. 소나시스템이란 음파를 쏘아 그것이 물체에 맞고 되돌아오는 현상을 이용해 그 물체의 형상을 밝혀내는 것이다. 글로리아는 한 번에 약 1백㎞ 거리안에 있는 지형을 파악해 낼 수 있었다.이에 비해 최근 ... ...
브라질 원주민 야노마미족 옛집 되찾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댐 등 생태를 파괴할 수 있는 어떤 구조물도 설립될 수 없다.그러나 브라질정부는, 1년반
전
열대우림보호를 주창했던 G7(서방선진7개국)의 계획성공을 위한 실제 경제지원이 너무 적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브라질 정부는 약16억 달러의 원조를 요구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1백50만달러를 낸 독일 이외의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현실은 과학교사들이 준비하지 못한 지식은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현장의 학생들에게
전
달이 안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6차개편을 통해 '현대과학과 인간'이라는 과목을 만들겠다는 시도는 과학의 사회성을 무시한 채 가르쳐온 현장에 신선감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일선교사들의 의견을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밤하늘 별을 보며 아름다움을 느껴보지 못한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또한 학창시절 사랑의 감정을 별을 통해
전
해 보지 않은 사람 또한 거의 없으리라. 우리네들 삶 ... 별의 표면으로 옮겨져 열 빛의 형태로 복사되어 하나의 별이 탄생한 것이다. 바로 50만년
전
에 이곳에서 일어난 일이다 ... ...
공해와 결별 선언한 신세대 자동차6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상태가 아니다. 개중에 몇몇은 2000년이 되기
전
에, 또 한둘은 그 이후에나 실용화될
전
망이지만 이미 국내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그 시제품이 나와 있다. 자동차의 신세대를 열어갈 이들의 장단점과 특징들을 점검해 보자 ... ...
옛 영화의 복원 노리는
전
기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문제는 최고속도를 어디까지 올리고 1회 충
전
으로 얼마나 달릴 수 있느냐에 있다.휘발유 대신
전
기를 먹고(?) 달리는 자동차가 있다. 다름아닌
전
기자동차다. 현재
전
... 차지하고 있으므로 배기가스를 내지 않는
전
기자동차가 보다 보편화되면 환경보
전
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때까지, 별이 너무 많아서 행성X가 있다해도 찾아내기 힘든 은하중심만 빼고는 거의 우주
전
영역을 조사했다. 그는 "설령 행성X가 내가 조사하지 못한 은하수 가까이 있다해도 IRAS의 조사나 어떤 광학(optical)적인 관찰로도 발견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그러나 로빈슨과 해링튼 두 ... ...
이전
1397
1398
1399
1400
1401
1402
1403
1404
1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