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리
이유
사연
사유
도리
이론
시장가치
d라이브러리
"
논리
"(으)로 총 1,714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스크를 잘 관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한다면 어떻게 될까.부팅디스켓을 만들자-SYS하드디스크를 포맷하는 것은 물리포맷 분할
논리
포맷의 3단계를 거치지만 물리포맷과 분할에 이상이 없을 때는 도스의 FORMAT 명령으로 포맷이 이루어진다. 초보자들의 경우 포맷할 대상을 지정해주지 않아서 하드디스크를 포맷해버리는 경우가 종종 ... ...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것이다. 현재도 어족자원 에너지자원 광물자원과 같은 눈에 띄는 자원의 경우에는 힘의
논리
에 의해 그 우선순위가 정해진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러나 아주 작은 크기의 해양생물들은 그 용도가 무궁무진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임자가 따로 없다. 부단한 연구를 통해 유용한 해양생물을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현대우주론의 대표주자는 당연히 대폭발이론이다. 그러나 이 이론이 우주의 생성을 설명하고 그 끝을 예견하는데 완벽하다고는 볼 수 없다. 현재 우주론을 ... 외쳤을 때에 그 거미가 움직이지 않으면 혹 "거미는 눈을 멀게 하면 귀머거리가 된다"는 '
논리
적' 결론을 내릴 수도 있는 것이다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공룡에게는 병원균이 돼 치명타를 입혔을 것이라는 설도 나와 있으나 이에도 같은
논리
가 적용된다.지각운동이 멸망시켰다는 설이 있다. 조산운동은 지리적 변화를 가져와서 생활장소와 생태계에 변동을 주는 까닭에 생물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세계적으로 동시에 일어나는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선명하고 깨끗한 화면의 레이저 TV가 가정에 보급될 것이다. 한편 반도체레이저 외에 광
논리
소자와 광집적회로의 연구개발로 21세기에는 광컴퓨터 광교환기 등도 개발될 전망이다. MMIC -텔레파시를 현실화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자와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면…. 사회구조가 고도화 광역화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전국적으로 8천7백여명에 이른다. 엄밀히 말해 수학은 여성과 인연이 깊은 학문이다.
논리
적이고 차분한 성격의 여성이 수학을 전공하면 대성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 예로 수학의 노벨상이라고 할 수 있는 '필드상' 수상자의 면면을 보면 여성이 여럿 눈에 띄고,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도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과학사학자들의 '플랑크 원리'라고 부르는 이 생각은 '포퍼의 원리'와는 반대로, 인간의
논리
적 사고가 과학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고 한다. 천문학자들이 정상우주론과 빅뱅이론을 저울질할 때, 과학사학자들은 플랑크의 과학론과 포퍼의 과학론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1959년경에 대부분의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멀리 떨어져있음을 감안할 때 그 깜깜한 별은 엄청난 질량임에 분명하다. 여기에 대한
논리
적인 설명을 하자면 바로 그 깜깜한 별이 블랙홀일 것이라는 점이다.우리 은하계에서 가장 최근 블랙홀 후보로 등장한 것은 V404 시그나이라는 쌍별로서 지구로부터 5백광년 멀리있는 것이다. 지난 1938년 눈에 ... ...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순박한 세계관(우주론)의 결말을 보게 된다.이와는 달리 현대 우주론의 발전은 물리적
논리
성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고 이의 철저한 실험적 검증이 있을 때만이 비로소 이루어진다. 그간 자연과학의 발달에 힘입어 우리가 다루는 우주론의 대상은 좁은 나일의 골짜기를 벗어나, 1백억 ... ...
우리은하는 얼음덩어리에서 출발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수소가 대부분이었고, 관측된 가스와 별들 역시 수소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과정은
논리
적으로 모순이 없다. 문제는 단단한 수소 덩어리가 우주 공간의 온도 -2백70℃에서도 증발해 버릴것이라는 데 있다. 이에 대해 올만은 "수소 얼음의 바깥쪽에 무거운 물질로 된 아주 얇은 층이 있어서 내부에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