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AI로 가짜뉴스 잡아볼까?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유통되는 SNS에서 제목 위주로 기사가 유포되곤 해서 문제입니다. 지난 3월, 박건우 숭실대학교 AI융합학부 교수팀은 이러한 가짜뉴스의 특성에 기반해 본문과 다른 내용을 제목에 나타내는 가짜 뉴스를 판별하는 인공지능(AI)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엑세스(Access)’에 ... ...
- [수담수담] 몸으로 느끼는 수학은 좋은 기억을 남겨요-손대원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수석 교사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남을 거라는 믿음 때문이죠. 손 선생님이 처음 수학 체험에 관심을 가진 건 2004년 창원대학교에서 전국 최초로 열린 무료 수학 체험전에 참여하면서부터였습니다. 경남에서 처음 열리는 수학 체험전이라 큰 반응을 기대하지 않았는데 생각보다 큰 호응을 얻은 겁니다. 당시 손 선생님은 사람들이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설명가능한 인공지능(XAI)과 그래프 이론 인공지능(AI)이 발달함에 따라, 금융의료자율주행 등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AI가 사용되는 영역은 점점 넓어지고 있죠. AI는 학습 데이터를 분석해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합니다. 최근에는 빅 ... ...
- [과동프렌즈] 만유인력의 법칙 이해하려 뉴턴 인생사까지 들여다봤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있어 좋았다”라며 “다만 영재고는 1학년 때 일반고 3년 과정을 마치고, 2학년부터는 대학교 과정을 배운다. 수준 높은 과학을 배우기 때문에 본인이 흥미가 있어야 버틸 수 있다”고 말했다.마지막으로 공부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자신만의 노하우를 덧붙였다. 김 군은 “과학자들이 어떤 ... ...
- [몬스터를 잡아라!] 직각, 둔각삼각형 몬스터와 함께하는 땅따먹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 놀이북 21쪽과 함께 보세요! 직각삼각형 몬스터가 뾰족한 이빨을 드러내며 주위를 살피고 있어요. 둔각삼각형 몬스터는 9개의 다리를 빠르게 움직이면서 이리저리 돌아다니고 있어요. 게임을 즐기면 두 몬스터를 잡을 수 있어요. 몬스터를 잡으러 떠나볼까요? 게임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야 몬스 ... ...
- [가상 인터뷰] 화성에서 필요한 산소, 직접 만들어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주목했지. 화성에 산소는 거의 없지만 질소와 이산화탄소는 있거든. 2월 17일, 독일 브레멘대학교 응용우주기술 미소중력연구센터 시프리앙 베르수스 박사팀은 화성과 비슷한 환경에서도 ‘PCC 7938’라는 이름의 ‘아나베나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으로 산소를 만들었다고 밝혔어.Q. 화성 같은 ... ...
- [기획] 얼매나 소중한 긴데! 사투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안녕? 나는 세종. 2021년 대한민국에서 사투리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 한글을 사랑하는 나, 세종이 가만히 있을 순 없지. 그런데 사투리를 왜 지켜야 하냐고? 어허! 이거 안 되겠구만! 사투리가 얼마나 소중한 건지 알려줘야겠군!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얼매나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왜? 설악산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인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 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것보다 더 높은 학습 능력을 통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미국 퍼듀대학교 동물복지과학센터의 칸다이스 크로니 교수팀은 돼지가 단순한 명령 훈련만이 아니라 더 높은 수준의 학습을 통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 2월 발표했지요. 연구팀은 먼저 요크셔종 돼지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건물에 필요한 엘리베이터 개수 찾기수학동아 l2021년 06호
- 21대의 엘리베이터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논문 제1저자인 지제 펑 미국 보스턴대학교 물리학과 박사과정연구원은 “비선형 역학 성질 때문에 엘리베이터 대기 시간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지만, 적어도 특정 층만 운행하는 방식을 제안하거나 알맞은 엘리베이터의 개수를 정하는 데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