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지막"(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파워볼 당첨 확률, 수학적으로 어느 정도?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뽑는 경우의 수는 간단한 조합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으로 무려 11,238,513이고 여기에 마지막 파워볼인 붉은 공의 경우의 수인 26을 곱하면 292,201,338로 약 2억 9000만입니다.미국 조지아 공대의 루 레프톤은 파워볼의 당첨 확률을 재미있게 묘사했습니다. 운동장에 1페니 동전이 놓여 있다고 가정할 ... ...
- [지식] 세기의 매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유리한 게임이라고 볼 수 있다.그렇다면 체스에도 필승법칙이 있을까? 한 경기에서 마지막 체크메이트의 순간부터 거꾸로 체스의 기보를 보면 체스의 필승법칙을 찾을 수 있을까? 체스는 두 명이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이론상으로 역방향 추론이 가능하다. 하지만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티렉스는 백악기 후기에 가장 강한 포식자로 군림했던 공룡이에요. 백악기의 가장 마지막 지층에서도 화석이 나오기 때문에 소행성이 충돌하지 않았다면 그 후에도 번성했을 가능성이 높지요.티렉스는 짧은 앞다리 대신 머리를 이용해 먹잇감을 사냥했어요. 티렉스의 똥화석에는 초식공룡의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뜻이었다.‘인류가 만들지 않은 우주선이 개미굴을 통과하고 있습니다. 목적지는 마지막 등대가 있는 행성으로 보이고요.’그 행성이란 바로 내가 있는 케플러 64의 3행성이었다.‘지금까지 우리가 알아낸 걸 정리해보죠. 전쟁 중에 등대가 일부 파괴된 덕분에, 과연 우연인지 아닌지는알 수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두 번, 위에서 아래로 두 번씩 번갈아 접기도 하고, 갤리번처럼 양쪽 방향으로 접다가 마지막에만 상하 또는 좌우로 연속 두 번 접어보기도 했다. 그러다가 종이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n1번 접고, 위에서 아래로 n2번 접어 전체적으로 n1+n2번을 접는 방식에 도달했다. 학생들이 ‘순차적 ... ...
- [News & Issue]일본 금성 탐사선, ‘재수’로 궤도 진입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멀어진 아카쓰키가 다시 금성에 접근하기까지는 꼬박 5년이 걸렸다. JAXA는 이번 시기를 마지막 기회로 보고 자세제어용 엔진 4개를 동시에 작동시켰다. 모든 연료를 쏟아 붓는 ‘다 걸기’ 전략이었다. 다행히 아카쓰키는 금성으로부터 400~44만km를 공전하는 타원궤도에 들어설 수 있었다.일본은 이번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 있다면 누구라도 그 능력을 쓰면서 즐기고 싶지 않겠는가.마법사가 본색을 드러낸 건 마지막 북방전쟁이 끝나고 왕국이 인간 세계 3분의 1을 정복한 뒤였다.예의상 마법사를 초대한 왕이 역시 예의상 원하는 것이 있느냐고 묻자 마법사는 기다렸다는 듯 이렇게 말했던 것이다.“병사 오천 명만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5차례 이상 크고 작은 대멸종이 일어났다. 그 중 최악은 약 2억 5000만 년 전,고생대 마지막인 페름기에서 백악기 시작인 트라이아스기로 넘어갈 때 일어난 대멸종이다. 이때는 지구 생물의 약 96%가 사라졌다. 과학자들은 당시지층을 분석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급증했었다는 사실을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만들어 보면 가장 짧은 거리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번 관문을 통과하면 조선왕조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초상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두 번째 관문_ 경기전에서 수 어림하기무사히 첫 번째 관문을 넘었나요? 두 번째 관문은 경기전의 원래 넓이를 어림하는 것입니다. 먼저 경기전 안의 오래된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불과 수십 년 전의 일이다. 그 출발점은 아마도 “과연 원자핵은 쪼갤 수 있는 물질의 마지막 단위일까”라는 질문이었을 것이다.어니스트 러더퍼드가 1919년 핵 속에 양전하를 띤 입자가 있다는 것을 밝히면서 양성자의 존재가 드러났다. 1932년 제임스채드윅은 원자핵 속에 전하가 없는 새로운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