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만약 대장균이 유전자 숫자를 원생생물 수준인 2만여 개로 늘리면 어떻게 될까. 세균은 보통 유전자를 복제하는 데 전체 ATP의 2%를 쓰고, 유전자로 단백질을 번역하는 과정에 75%를 쓴다. 유전자가 다섯 배가 되면 복제에는 전체 ATP의 10%, 번역에는 375%가 필요하게 돼 세포가 혼자 만들 수 있는 ATP를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조금만 이상이 생기면 신호를 보내 자살을 시도한다. 자살 신호가 시작되는 곳도 보통 미토콘드리아 안이다. 예를 들어 전자전달계의 전위차가 줄어들면 전자전달계를 이루는 단백질 중 하나인 cyt c가 바깥으로 떨어져 나온다. 세포 자살을 총괄하는 BAX 단백질이 cyt c에 이상이 생긴 것을 알아차리면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가늘고 약하기 때문에 자칫하면 부러질 수도 있다. 그래서 사냥할 때가 아니면 보통 가운데 손가락을 반대방향으로 편 채로 이동한다.재미있는 점은 자세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도 바꾼다는 점이다. 가운데 손가락을 열화상 카메라로 관찰한 결과, 아이아이가 사냥하지 않고 이동만 할 때, 즉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가장 높은 호수로 알려져 있지요. ‘염도란 물에 용해돼 있는 소금의 양을 말해요. 보통 바닷물의 염도는 약 3.5%인데, 사해는 염도가 3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어요. 실제로 지중해 바닷물 1리터에는 소금이 37g 들어 있는데, 사해에는 275g이나 들어 있지요. 이처럼 사해는 일반 바닷물에 비해 7배 이상 ... ...
- [수학뉴스] 이제는 함께 토론하며 수학 공부하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은 수학을 어떻게 공부하시나요? 보통은 학교와 학원에서 선생님의 수업을 듣고, 문제집에 들어있는 수많은 문제를 풀어보지요. 그래서 수학자들도 혼자 끙끙대며 연구할 거라고 생각하기가 쉽습니다.하지만 요즘 수학자들은 대부분 혼자 연구하지 않습니다. 세계 곳곳의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게다가 공짜이고, 무엇보다 양이 어마어마하다. 보통 성인이 하루에 배출하는 오줌은 1.5L 이상. 이를 전세계 70억 인구로 계산하면 적어도 매일 105억L의 오줌이 쏟아져 나온다. 올림픽경기 규격(50m×25m×2m)의 수영장 4200개를 채울 수 있는 양이다.그는 오줌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유전자를 복제하고 다시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지름은 40~6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로 보통 인간세포보다 200분의 1이나 작다.지카에 대해 많은 정보를 알게 된 것 같지만, 사람에 비유하면 간단한 인상착의 정도다. ‘키가 170cm, 몸무게 70kg의 남성이 범인이다’고 말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trusting trust)에서 이미 컴파일러 백도어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백도어의 유무를 감시할 때 보통은 사람이 쓴 소스 코드를 분석하지, 이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컴파일러를 확인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또 컴파일러 하나로 여러 소스 코드를 변환하기 때문에, 백도어가 삽입되도록 만들어진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ped’다. 이처럼 인도 유럽어족에서 진화한 영어와 라틴어를 보면 일정한 규칙이 있다. 보통 영어의 ‘f’ 소리가 라틴어에서는 ‘p’로 대체된다. 이런 현상은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중국 북부 등 넓은 지역에서 진화한 투르크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러시아 하카스 공화국의 언어인 ... ...
- [과학뉴스] 비눗방울만큼 얇은 태양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 태양전지는 지금까지 개발된 태양전지 중 가장 얇고 가볍답니다.기존의 태양전지는 보통 유리 기판 위에 만들기 때문에 무겁고 딱딱했어요. 그래서 실생활에서 이를 다양하게 사용하기가 어려웠지요. 가볍고 부드러운 플라스틱 재료로 기판을 만들기도 하지만, 플라스틱은 표면에 흠집이 많아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