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미션을 수시로 시행했다. 연습장과 달라진 환경에 맞춰 적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스템
안정성 역시 우승에 큰 역할을 했다. 실제로 로봇이 연습 때는 미션을 잘 수행하다가 현장에선 고장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다.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창업 벤처기업인 ‘레인보우’의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없지만, 사람 입장에서 봤을 때 똑똑한 행동을 한다. 애플의 ‘시리’나 구글의 검색
시스템
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강한 인공지능은 지성, 이성, 감성 등 인간의 다양한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다. 인간과 대화하고 함께 생활하는 데 장벽이 없다. 영화 ‘그녀’ 속 사만다가 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아래를 들어서 인양했다(아래 사진). 세월호에서도 가능할까.박승균 서울대 해양
시스템
공학연구소 교수가 6월 9일 특허출원한 방식을 살펴보자. 세월호 직립인양방식은 현재로서는 박 교수의 아이디어가 유일하다. 크레인을 뒤로 이동하면서 우현에 연결한 줄을 잡아당기면 세월호를 일으켜 세울 수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때까지의 모든 정보를 통합해 모델링해 주는 소프트웨어다. 그 결과, ‘한옥 BIM 설계지원
시스템
’이 탄생했다. 이 프로그램은 파라메트릭 설계를 활용한다. 사용자가 한옥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더라도 한옥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그래서 건축가뿐만 아니라, 학생이나 일반인들까지도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역시 뇌의 정확한 부위로 로봇을 조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이상윤 부경대 공간정보
시스템
공학과 교수는 “목표 뉴런에 정확히 도달하기 위해선 결국 자체구동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교수는 ‘유체가압추진방식’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해 2011년 특허를 출원했다. 그의 로봇은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국내 은행이 늘고 있다. 신한은행은 고객이 스스로 은행업무를 할 수 있는 ‘셀프뱅킹’
시스템
의 인증 수단으로 손바닥 정맥을 도입하기로 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시기를 정확히 말할 순 없지만, 빠른 시일 내에 손바닥 정맥 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된 ATM기기를 생산 할 예정”이라고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나타나도 플루트를 이용해 언제 어떤 경로로 퍼질지 예측할 수 있다. 황교상 KAIST 산업 및
시스템
공학과 연구원(박사과정)은 작년 4월 플루트를 토대로 우리나라 인플루엔자 확산모델을 만들었다. 황 연구원은 “인구구조와 이동행태에 따라 피해도 달라지기 때문에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발표한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스페인 시에라네바다에서 열렸다. 이 워크숍에서 영국 브리스톨대 공학부 지능
시스템
연구실의 티즐 드 비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히트송을 예측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 50년 동안 발표된 영국 톱40 싱글 차트에서 해마다 상위 5곡과 하위 10곡을 분류했다. 그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전문의 스킵 리 초 박사는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 참전용사를 위한 가상체험 치료
시스템
을 개발했다. 환자는 중동지역 을 배경으로 10가지 정도의 가상 시나리오를 경험하 며 자연스럽게 당시 기억을 떠올린다. 연구팀은 전투 화가 자갈을 밟는 소리, 군인들의 농담, 현지에서 들 을 수 있는 새소리 ... ...
아플 때 입맛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필라델피아대 모넬화학감각연구소 연구팀은 아플 때 체내 면역
시스템
이 활성화되면서 쓴맛에 민감해진다는 논문을 ‘뇌·행동·면역’ 4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면역세포 중 감염을 막는 조절 단백질인 종양괴사인자(TNF) 유전자가 없는 쥐와 있는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