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주
거즈
d라이브러리
"
안정하기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제 태양광에너지는 더 이상 대체에너지가 아닙니다.” 대전 한국화학연구원(이하 화학연) 에너지소재연구센터 문상진 박사는 화석연료를 기준으로 한 대체에너지란 용어가 머지않아 사라질 거라고 전망했다. 제한된 매장량에 중동과 북아프리카 정세 불안이 겹쳐 기름값은 해가 다르게 오르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고대 이집트의 동굴 분묘 벽화에는 늘 사람과 동물이 함께 등장한다. 이 벽화에서 사람과 함께 사냥하는 개를 흔히 볼 수 있다. 뿔이 큰 황소를 이용해 밭을 가는 그림과 얼룩소의 젖을 짜는 모습도 있다. 도대체 우리는 언제부터 이들과 같이 살게 된 걸까.중동의 메소포타미아 유적지에서 그 답을 ... ...
턱이 귀가 된 사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현재 우리는 조상들이 먹을 때 쓰던 뼈로 소리를 듣고 있다는 증거가 드러났다. 포유류의 조상인 파충류의 아래턱뼈에 있는 작은 뼈 세 조각이 진화하면서 포유류의 귀로 이동했다는 사실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를 증명해 줄 결정적인 화석이 나타나지 않았다.최근 미국 자연사박물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방사능에서 벗어나는 법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자연에 생기를 불어넣는 봄비가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방사능비라는 우려 때문이다.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방사성 물질이 섞인 건 사실이다. 방사능에 대한 걱정, 어디까지가 합리적일까?방사성 물질 확산모델, 48시간까지 믿을 만해 일본에서 발생한 원자력발전소(원전) 사고가 장기화될 전망이 ...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중등 영재들의 연구 포트폴리오를 분석한 결과, 과학 - 물리 분야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접근 방법이 눈에 띤다. 교과서 내용의 확인 및 심화, 공학과 관련된 주제 탐구, 첨단 물리학 연구가 그것이다. 지금부터 각각의 주제에 대해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작성할지 실제 사례를 살펴보자.※ 이 코너에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개나리와 벚꽃이 만개한 4월 14일 서울 충정로 동아사이언스에서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한양대 화학과 교수, 세계 화학의 해 조직위원장)과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이 만났다. 회원수 6000여 명의 국내 최대 화학자단체를 대표하는 김 회장과 연구원 1000여 명의 일터인 국내 최대 화학연구기관 ... ...
Part 2. 똑똑해서 슬픈 베르테르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최근 서남표 총장이 “해외 우수 대학에서도 자살하는 사람이 많다”며 “MIT(매사추세츠 공대)에 비하면 카이스트 학생들은 공부의 양이 적다”고 말해 논란이 됐다. 실제로 미국 보스턴글로브의 발표에 따르면 MIT에서는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0년간 인구 10만명당 10.2명이 자살했다. MIT가 학사운영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스마트폰 보급대수가 1000만 대 가까이 되면서 제2의 벤처 바람이 불고 있다. 성공 사례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지만 벤처 환경은 여전히 척박하다. 하지만 명문대 프리미엄을 버리고 도전에 나선 이들이 있다. 바로 서울대 벤처동아리인 ‘학생벤처네트워크’. 이들은 최근 미국 MIT와 함께 ‘MIT-글로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한반도에서 수백~1000km 떨어진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고선량 방사선 위험은 없다. 하지만 저선량(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1mSv보다 적은 방사선량) 위험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는 것이 파트 1의 결론이다. 하지만 어떤 경로로 저선량 방사선이 도달하는지, 그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일본 동북부 지각판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강진이 일어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여진의 울림은 계속되고 있다.한편 백두산 분출에 대한 우려도 높아가고 있다.하지만 지진과 화산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부족하다.지진과 화산이 일어나는 원리는 무엇이고이 둘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코너를 마련했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