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d라이브러리
"
여름
"(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범선,
여름
밤하늘을 항해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프랑스의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파피용’은 거대한 우주범선을 만들어 희망이 없는 지구를 탈출해 새로운 행성을 찾아가는여정을 그리고 있다. 프랑스의 일러스트레이터 뫼비우스가 그린 우주범선 ‘파피용’의 모습.]3온 국민이 즐겨 부르던 윤극영 선생의 동요 ‘반달’이다. 가사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을 보유하게 될 한국 천문학자들의 활약도 기대해볼 만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작은 은하 잡아먹던 ... ...
섬유에서 시작하는 패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땀이 찬 듯한 불쾌감을 준다. 일반 면직물을 입고 운동을 하면 땀이 옷에 축축하게 배어,
여름
에는 체온이 올라가 더 덥고 겨울에는 체온이 떨어져 더 춥게 만든다.1969년 미국 고어앤어소시에이츠사의 윌버트 고어 박사가 개발한 고어텍스는 일반 방수용 천의 단점을 보완했다. 고어텍스에 뚫려 있는 ... ...
시간이 지나면서 풍선의 변화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열대지방에서는 덥고 건조한 시기에 변온동물들이
여름
잠을 잡니다. 예시답안 1) 몸무게가 크면 클수록 열에너지로 전환되는 비율이 낮아지는 것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몸무게가 크다는 것은 부피에 따른 체표면적의 비율이 낮은 것이다. 따라서 부피에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어린이과학동아’ 편집국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우리는 마음이 들뜨기 시작했어.
여름
도 아닌데 바다 속을 탐험한다는 거야. 바다 광물과 보석, 심해생물은 물론 이어도 해양과학기지까지 볼 수 있대. 게다가 우리가 이 바다에 들어가는 첫 번째 손님이라지 뭐야! 두근두근~. 친구들도 함께 가자 ... ...
PART 2 독특한 곤충의 생애, 주기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연구에 응용할 수 있다.주기함수의 대표, 삼각함수 소수 주기로 살아가는 매미
여름
마다 들리는 맴맴~ 소리는 우리에게 친숙한 소리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매미는 매년 나타나는 참매미다. 그러나 모든 매미가 참매미처럼 매년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북아메리카에서 17년 주기로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다닌 학교라고 해서 우리나라에서도 유명하다. 1968년
여름
맥클린톡은 친구들과 한 컨퍼런스에 초대됐는데, 그곳에서 어떤 연구자가 암컷 쥐들을 함께 키우면 배란 시기가 같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참석자들은 이런 현상의 배후에는 페로몬이 관여할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향을 남기고 대나무로 만든 죽부인은 에어컨을 잊게 할 만큼 시원함을 선사한다. 슬슬
여름
채비에 들어가는 6월엔 대나무만큼 ‘시원한’ 친구가 없다.항균작용에 통기성 좋은 대나무 섬유대나무는 이름에 ‘나무’가 있긴 해도 엄밀히 말해 ‘줄기가 나무처럼 바뀐 풀’이다. 벼, 보리, 옥수수처럼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해왔던 일이다. 그러니 투표에 관한 한 인간은 꿀벌 앞에서 콧대를 세울 수 없다.초
여름
이 되면 온통 주변에 먹을거리가 넘쳐나 꿀벌의 무리가 늘어나고 대부분의 벌집은 북새통을 이룬다. 그래서 이때쯤 엄마 여왕벌은 자기 딸을 위해 자기가 살던 터전을 딸에게 넘겨준다. 그리고선 벌집 안의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그는 또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서도 배설물의 색깔이 달라 풀을 많이 섭취하는
여름
에는 색이 검고 윤기를 띠지만 먹이가 없는 겨울에는 나무껍질까지 갉아 먹은 탓에 회녹색을 띤다”고 덧붙였다.사실 보잘것없어 보이는 산양의 배설물에는 놀라운 능력이 숨어 있다. 산양은 독초를 빼고 거의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