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긴
d라이브러리
"
오래
"(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맥구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물론 인맥은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중요합니다. 그러나 억지로 만들어진 인맥은 결코
오래
가지 못합니다. 그런 점에서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이 참 쉽지 않은 일이긴 합니다만 최근 20~30대를 대상으로 한 연애상담소까지 생겼다는 소식은 그리 유쾌하지 않습니다. 연애상담소에서는 시간당 10~20만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돌입했다’는 뜻이다. 완전한 발견은 아닌 것이다. 작년 상황은 ‘이론물리학에서
오래
전부터 예측해 온 입자가 있는데, 적절한 질량을 지니는 미지의 입자를 새로 발견했다. 100% 확신할 수는 없지만, 정황상 힉스일 가능성이 높다’였고, 당시 내릴 수 있는 최선의 결론이었다.연구가 미진했던 것은 ... ...
나누는 기쁨, 더하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사실 학업에 부담이 되지는 않을까 걱정하기도 했어요. 하지만 동아리원들과 함께
오래
시간을 보내면서 자매처럼 가까워질 수 있었고, 지금은 그런 걱정 없이 즐겁게 활동하고 있어요. 임현정(2학년)기자가 찾아간 날도 시그마 동아리원들은 곧 있을 신입생 선발 홍보를 위한 동영상 제작에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최근 구글은 ‘말하는 신발’도 공개했다. 입거나 쓰는 컴퓨터에 대한 연구는 꽤
오래
진행됐지만 구글은 실생활에 적용하는 시기를 앞당기고 있다.구글의 말하는 신발은 근거리 무선 통신인 블루투스로 스마트폰과 연결된다. 신발을 신은 사람이 움직이면 신발이 상황에 맞는 말을 한다. 신고 있지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인정하게 됐다. 플로리겐을 찾는 데 왜 70년이나 걸렸을까지금까지 찾는 데 이토록
오래
걸린 호르몬은 없었다. 이유는 플로리겐이 일반적인 호르몬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호르몬은 크기가 작은 물질이다. 크기가 작아야 혈관계를 따라서 쉽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전해질을 세라믹으로 대체하면 전지의 크기를 줄이면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 작고
오래
가는 모바일 기기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헤켈 박사는 “이 기술 역시 당장은 수익이 나지 않지만, 장래성이 높다고 보고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며 장기적인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통을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원숭이 정리가 무엇인지 조금 알겠어. 근데 4대 비극집을 원숭이들이 쓰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거 아냐?에이, 걱정하지 마세요. 제가 전 세계 원숭이들을 모두 소집했어요. 하하~.실제로 원숭이들에게 마구잡이로 타자기를 치게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사실 주사위 던지기의 수학적 확률은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받는 기술입니다. 복수의 부분망과 개별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다소
오래
보호했다가 전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주정거장은 지구 표면과 약 500km만 떨어져 있어서 지금 쓰고 있는 TCP/IP로도 가능합니다.행성 간 인터넷은 어떤 과정으로 연결되나요.지구와 화성은 이미 인터넷을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산이다. 그동안 지표면을 조사하며 생명이 살 수 있는 환경이 얼마나 다양했으며 얼마나
오래
지속됐는지를 알아낸다.큐리오시티는 2년으로 예정된 임무 중 이제 4분의 1 정도를 소화했다. 샤프 산까지는 아직 먼 길이 남아 있다. 큐리오시티는 그곳에서 또 무엇을 발견할까. 모두의 기대처럼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감염되려면, 먹이인 초식동물의 몸 안에 애벌레 상태로 숨어 있는 게 유리하다.
오래
전부터 이어져 온 촌충의 적응 방식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여기에 인류가 끼어들었다. 이 초기 인류는 사자와 경쟁하며 초식동물을 먹기 시작했다.초식동물의 몸에 있던 사자 기생충의 애벌레도 자연히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