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염의 가수분해와 완충용액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각 물질의 농도를 평형상수식에 대입해 알아봅니다. 4) 아미노기와 카르복시기가
외부
에서 투입되는 산과 염기에 어떻게 작용할지 생각해봅니다. 예시답안 1) 세포 외액에는 약산인 탄산(H2CO3)과 약산의 염인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혼합된 완충 용액이 들어있다. 따라서 수소이온이나 수산화이온이 ... ...
자연 속의 역제곱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소개된 서울대 예시문항을 살펴보자. 별의 등급과 역제곱법칙 (가) 사람의 감각기관은
외부
의 자극에 로그함수로 반응한다. 예를 들어 밝기가 F1 과 F2 인 두 물체가 있다면, 사람의 눈은 그 밝기 차이를 log(F2/F1)로 지각한다. 별의 등급체계는 이러한 눈의 특성을 살려 만들어졌다. 별의 등급은 고대 ... ...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음식을 접했을 때 보이는 생리적 반응에 있다고 주장했다. 윗입술올림근의 움 직임은
외부
의 물질을 더 이상 입에 넣지 않거나 냄새 를 맡지 않으려는 방어동작이다. 따라서 바퀴벌레를 보거나 부도덕한 상황을 목격했을 때는 이런 움직임 을 할 필요가 전혀 없다. 그럼에도 우리도 모르게 이 런 ... ...
[의학]모기로 말라리아 퇴치하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몸속에 들어오는 순간을 감지해 ‘TEP1’ 단백질을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TEP1 단백질은
외부
에서 침입한 원충을 찾아 몸 표면에 구멍을 뚫어 죽인다.모기는 이런 면역시스템 덕분에 말라리아에 감염돼도 원충을 80~90%까지 죽인다. 하지만 말라리아 원충의 10% 정도가 면역시스템을 피해 살아남아 ... ...
재료역학신뢰성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또한 재료역학신뢰성공학은 연구실뿐 아니라 실제 산업 현장에서도 많이 이용되므로
외부
활동을 좋아하는 학생에게 적합하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재료공학과나 금속재료공학과 등을 졸업한 뒤 관련 대학원에서 재료역학신뢰성공학을 공부할 수 있다. 재료역학신뢰성공학 자체에 ... ...
그래프 분석해 패턴 찾아내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다음은 서울대 모의 논술에 출제된 그래프 분석 문제다. (가) 사람의 감각기관은 대부분
외부
자극에 대해 로그함수적으로 반응한다. 예를 들어 밝기가 F1과 F2인 두 물체가 있다면, 사람의 눈은 그 밝기의 차이를 log(F2/F1)의 비례로 지각한다. 이런 눈의 특성을 잘 살펴볼 수 있는 사례가 별의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일부를 세포핵의 게놈으로 넘겼을까. 어차피 엽록체 안에서 쓰일 단백질인데 굳이
외부
에서 만들어 다시 들여오는 번거로움을 감수할 필요가 있을까. 아직까지는 그 이유를 명쾌히 설명하지는 못하고 있다. 다만 내공생 과정에서 세포가 엽록체의 활성에 대한 통제권을 확실히 쥐기 위함으로 ... ...
내 PC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사용자의 키 입력 내용을 저장하거나 화면을 캡처할 수 있으며, 저장된 파일을
외부
에 유출할 수도 있다. 트로이목마는 평소에는 컴퓨터 활동 가운데 극히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움직임도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그러다 게임과 관련된 컴퓨터 동작이 실행될 경우에만 ‘키로깅’ 기능을 동작시켜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않고 유물에도 해를 입히지 않는다. 하지만 처리시간이 약 25~30℃에서 3주나 되며 그동안
외부
에서 산소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 수장고나 훈증실처럼 많은 유물이 모인 곳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이산화탄소법은 약 60%의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분사해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자성을 띠지 않는 이유는 첫째, 고체 내에 존재하는 전자들의 자기모멘트가 서로 상쇄돼
외부
적으로는 아무 효과도 내지 않기 때문이고, 둘째, 물질내부의 자기적 성질을 우리가 느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자성이라 할 때는 막대자석이나 나침반의 바늘 같은 강자성체만 생각하기 때문에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