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자"(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회생활 못하는 네안데르탈인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네안데르탈인은 우리보다 친구를 사귀는 데 더 서투를까.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보다 더 잘 보고 잘 움직일 수 있지만, 사회생활 능력은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 ... 극복하는 데 더 어려움을 겪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영국 왕립학 회보B’ 3월 13일자에 실렸다 ... ...
- ‘텔레파시’ 동물 실험 첫 성공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실험에 성공해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28일자에 발표했다. 서로 다른 동물 개체의 뇌와 뇌를 연결하는 ‘뇌-뇌 인터페이스(BTBI)’기법을 이용했다.연구팀은 실험용 쥐 두 마리를 준비해 각각 다른 실험 상자 안에 가뒀다. 첫 번째 쥐가 있는 방에는 두 개의 LED ... ...
- 공룡 멸종 원인, 소행성 충돌에 힘 실릴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공룡 멸종 원인에 대한 논란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소행성 충돌설과 화산 폭발설, 기후 변화설 등 다양한 주장이 있다. 이 중 가장 유력한 것으로 평가받는 가설이 소행성 충 ... 충돌만이 공룡 멸종의 원인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여운을 남겼다.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2월 8일자에 실렸다 ... ...
- 자폐증을 고칠 수 없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선별적으로 분석하면 비용은 앞으로 더 낮아질 것이다.지난해 ‘사이언스’지 12월 21일자에는 ‘자폐증 유전자, 계속해서 또’라는 기사가 났다. 기사 제목처럼 자폐증 유전자에 대한 논문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김 교수는 “앞으로 10년이면 자폐증과 관련한 모든 유전자의 데이터베이스를 ... ...
- 호빗이 사는 외계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수성보다 작은 외계행성을 케플러37이라는 별 주위에서 발견했다”고 ‘네이처’ 2월 21일자에 밝혔다.외계행성의 이름은 케플러37b다. 케플러37은 백조자리에 있는 별로 우리 태양과 비슷한 크기에 조금 차가운 별이다. 이 별 주위에서 지금까지 세 개의 행성이 발견됐는데 하나는 지구보다 좀 작고, ... ...
- 카페인 많이 섭취하면 저체중 아이 출산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태아의 성장속도를 늦출 뿐만 아니라 임신 기간도 늘린다는 연구를 BMC 의학 저널 18일자에 발표했다. 세계보건기구는 임신부의 하루 카페인 섭취량을 300mg 이하로, 일부 나라는 200mg 이하로 권장하고 있다.연구팀은 10년 동안 임신부 6만 명의 식습관과 태아 발달 상황을 조사했다. 하루에 카페인을 ... ...
- 태양풍은 초신성 연구용 입자가속기?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태양에서 흘러나오는 입자의 흐름인 태양풍이 초신성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입자가속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미국항공우주국과 유럽우주국, 이탈리아우주국 공 ... 충격파의 성질을 연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네이처 피직스’ 2월 17일자에 실렸다 ... ...
- 과도한 소금섭취 막는 짠맛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과도한 소금섭취를 막아 체내 나트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짠맛수용체 단백질 TMC-1이 규명됐다.황선욱 고려대 의대 교수팀은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예쁜꼬마선 ...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나 약물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2월 7일자에 실렸다 ... ...
- 물질파로 시간·질량 잰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물리학과 교수는 물질파의 진동수를 이용해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이언스 1월 10일자에 발표했다. 모든 물질은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동시에 지닌다는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질량을 이용해 시간을, 거꾸로 시간을 이용해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물질을 파동으로도 보는 ... ...
- 호주, 고립되지 않은 대륙?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인류 역사에서 격리된 지역이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온라인판 1월 14일자에 실렸다.연구진은 호주 원주민들과 파푸아 뉴기니, 동남아시아, 인도인 등을 포함한 344명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호주 북부 지방 원주민 중 11%가 약 4000년 전에 인도에서 호주로 들어온 이주민의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