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8월 12일까지 세 번에 걸쳐 백두산에서 채취한 암석 샘플 약 300kg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자리였다. 화려한 조명과 음식이 준비된 ‘파티’는 아니었지만, 흥분된 분위기만큼은 여느 파티 못지않게 후끈했다. 그 현장을 과학동아가 단독으로 취재했다.화산 폭발 비밀 담은 ‘블랙박스’“자, 박스에 ... ...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교수가 멋쩍게 웃었다. 딱 하나, 흔히 ‘거꾸리’라고 부르는 운동 기구가 한 켠에 자리하고 있다는 점이 다른 연구실과 달랐다. 괜히 훤칠한 키와 체격에 시선이 갔다.김 교수는 올해 하반기에 막 한국 생활을 시작한 젊은 교수다. 아직 실험실 설치도 끝나지 않았다(내년 초에 완성된다). 하지만 ... ...
- [지사탐 소식 1,2] 수청이 보금자리가 되살아났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생태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 재미있게 탐사하는 방법을 서로 공유하는 자리를 만들고 싶었다”며 “생태를 주제로 한데 모여 재미있게 노는 방법을 한바탕 보여 준 즐거운 축제”였다고 말했답니다 ... ...
- [Editor’s note] 수학과 함께 연말을 보내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젊은 수학자와 함께 수학 이야기를 나누고, 퍼즐 대결도 펼치는 자리예요. 편안한 자리에서 수학공부에 대해 물어볼 수도 있답니다. 마지막에는 천문대에 올라가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을 관측하는 시간도 있고요.아, 중요한 걸 빼먹었네요. 퍼즐 대결에서 실력을 뽐낸 분들에게는 멋진 크리스마스 ... ...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계산기를 만들었어요. 톱니바퀴 8개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형태로, 톱니바퀴 각각은 각 자리의 수를 계산했어요.하지만 이들 계산기 모두는 삼각함수나 로그함수와 같은 계산은 할 수가 없어 천문학자나 수학자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했어요. 또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이 잦았어요. 그러던 1822년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땅을 하사했는데, 조선의 산세와 지세를 훤히 꿰뚫고 있던 두사충이 처음 정한 명당자리가 지금의 경상감영공원입니다. 아래 글과 현장에 있는 QR코드의 조건을 참고해 ‘대구의 맥이 마지막으로 멈춘 곳에서 경상감영공원까지’의 거리를 현대의 단위로 구해보세요.열한 번째 미션, 화교소학교 속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1월 2일. 갑작스런 추위로 기온이 0℃ 안팎까지 떨어진 날이었다. 해발 700m 고지대에 자리 잡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이미 겨울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었다. 아직 공식 개장을 하지 않아 관람객이 없는 수목원 안 깊숙한 곳으로 차를 몰고 들어가자, 마치 버섯처럼 생긴 건물이 땅 위로 불쑥 솟아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56547). 당시 유럽의 과학 문화는 후원자가 중요했다. 이들의 지원이 있어야 대학에서 좋은 자리를 얻고 궁정에 진출할 수 있었다. 바시는 귀족들의 사교 모임에 꼬박꼬박 참석했고, 교황 베네딕토 14세 등의 후원을 받아 커리어를 쌓았다.이후 바시는 볼로냐에서 과학의 상징이자 대중의 아이콘으로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는 생명력으로 넘쳐났다.그릇이 없으면 물은 어디에 담길까. 담길 자리가 없으면 마음은 어디로 갈까.물, 계곡, 실개울, 도랑, 낙수, 빗방울, 이파리에서 떨어지는 이슬, 생각의 강이 사람의 계곡을 따라 흘렀다. 바위를 휘감고 자갈을 타넘고, 물거품을 일으키며 떨어지고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뜻이다. 처음 우주 등방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건 1920년대 즈음이다. 현대의 우주론이 자리를 잡아가던 시기다. 시작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었다.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으로 시간과 공간 격자가 변하지 않는다는 상식을 깼고, 일반상대성이론으로 질량이 있는 곳에서는 공간도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