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물
작
예술품
미술품
문학
문예
문헌
d라이브러리
"
작품
"(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과 미학의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보이는 막대모양 하나하나가 사실은 된장을 발효시키는데이용되는 바실러스균. 이
작품
은 바실러스균을 건조하다가 전자현미경 1000배 배율로 촬영한 것이다 ... ...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뒤 경비행기를 타고 기러기와 함께 수백km를 이동한다는 스토리이다. 자크 페랭이 이
작품
을 보고 ‘위대한 비상’의 영감을 얻었으므로 철새와 함께 비행하며 촬영하는 아이디어의 원조는 빌 리쉬먼인 셈이다. 새들이 경비행기를 보고 도망치지 않고 함께 날 수 있었던 것은 알에서 깨면서부터 ... ...
컴퓨터 그물망이 지능을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측면이 강합니다. 다만 그림이나 음악은 대부분 한 사람의
작품
이지만 저희 결과는 공동
작품
이라는면이 큰 차이죠.”네트워크컴퓨팅에 대해 설명해달라는 기자의 질문에 송 교수는 뜬금없이 전산학의 예술론을 펼친다. 그에 따르면 앞으로 전산학 분야에서 예술적 소양과 창조적 상상력의 비중이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위원회도 “올해는 특수상대론을 일반인들에게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작품
을 선정해 상을 수여할 계획”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다.1월부터는 대중을 대상으로 한 아인슈타인 두뇌 강좌, 아인슈타인의 일생과 업적을 소재로 한 1인극 ‘아인슈타인과 함께 한 저녁’공연 등 8 ... ...
5. 예술과 철학을 뒤흔든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화폭 위에서 깨달은 것이다.당시 화가들은 4차원을 3차원에서 표현하려고 했다. 피카소의
작품
가운데 ‘마라부인’을 보면 눈 속에 눈이 있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이는 4차원의 3차원 투시도를 암시한다. 만일 4차원의 물체가 있어서 3차원에 투영한다면 입방체 속에 입방체가 있는 모습이 될 것이다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둘만의 공통점이다.프리만 다이슨 교수가 본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아인슈타인만의
작품
아니다”뜻한대로 행해도 도를 잃지 않는다는 종심(從心)의 나이를 이미 오래전 훌쩍 뛰어넘었기 때문일까. 81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프리만 다이슨 교수는 인터뷰 내내 자신의 생각을 조리있게 ... ...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단편소설 부문, 수기 부문, 아동문학 부문, 만화 부문으로 공모가 이루어졌습니다. 본
작품
은 아동문학 부문 당선작입니다.“지구에 다 왔어요!”선장의 목소리에 잠에서 깨어난 벼리는 얼른 창밖을 내다보았다. 그러나 푸른 별 지구의 모습은 찾을 수가 없었다.“어디에 지구가 있다고 그래요?”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인물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했다. 기원전 3000년 이전 것을 비롯해 1000점이 넘는
작품
을 분석한 결과 창던지기 등 기술이 필요한 동작을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오른손을 사용했다. 한편 왼손을 사용한 경우는 약 8%로 오늘날 왼손잡이 비율인 10%와 비슷했다.결국 인류는 200만년 전 이미 대부분이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알 마시라 댐과 라바트 사이의 농경지 모습은 마치 피카소 같은 위대한 화가가 그려낸
작품
인 듯하다.만약 베르트랑이 깜깜한 밤에 사진을 찍었다면 지상의 모습은 어땠을까? 다양한 모습과 다채로운 색상보다는 반딧불같이 반짝이는 불빛의 밀도가 각 도시의 특색을 전해줄 것이다. 얼핏 생각하면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특히 그의 다비드상은 인류가 만들어낸 조각 중 최대 걸
작품
의 하나로 평가된다. 이
작품
이 얼마나 정확한가는 몸 중간의 음낭을 보면 알 수 있다. 자세히 보면 왼쪽이 약간 아래쪽으로 처져 있다. 실제 대부분 남자의 음낭 역시 왼쪽이 약간 아래 놓여 있다.음낭이 비대칭인 이유를 찾아내려고 많은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