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기
총포
권총
망상조직
화기
망
총선거
d라이브러리
"
총
"(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남해에서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 세계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경남 남해군에 있는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 499호)’에서 찾은 이 화석은
총
8개의 앞발자국과 뒷발자국이다. 지금까지 한 번도 보고된 적이 없는 도마뱀의 발자국이다. 연구팀은 이 화석을 ‘한국에서 발견된 새로운 종류의 도마뱀 발자국’이라는 뜻으로 ‘네오사우로이데스 ... ...
[과학뉴스] 동물 박제 로봇으로 밀렵꾼 체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동물 박제를 뒤집어쓰고 있어 밀렵꾼도 감쪽같이 속는다. 밀렵꾼이 가까이 다가오거나
총
을 쏘면 동물로봇은 단속원에게 재빨리 알리고, 곧 순찰차가 출동한다. 여러분은 과연 동물로봇과 실제 동물을 구분할 수 있을까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행성에서 지구에서와 똑같은 과정을 통해 문명이 나타났다고 가정하면, 우리은하에는
총
14억 개 정도의 외계문명이 있다는 뜻이 된다(위 오른쪽 그래프). 반대로 우리 은하에 여태까지 외계문명이 한번도 생겨난 적이 없다고 가정하면, 골디락스 행성에서 외계문명이 나타나기까지 걸리는 평균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비교해봐도 별 차이가 없다. 게다가 치아의 크기와 모양은 사람마다 다르다. 우리는
총
32개의 영구치를 갖고 있는데, 모든 치아가 똑같이 생긴 사람이 존재할 확률은 0에 가깝다. 특히 최근엔 보철 등 치과 치료를 많이 받는데, 이런 치료 흔적의 위치와 모양까지 우연히 같은 사람을 찾는 건 하늘의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흰색 파형과 같은 중력파 파형을 뽑아낼 수 있다.우리나라의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는
총
4명으로 이뤄진 중력파 연구팀이 있다. 연구팀은 ‘힐베르트-후앙 변환’이라는 수학 이론을 이용해 중력파와 잡음을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 잡음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해 데이터의 질을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밝혀지고 있다.사람의 뇌 주름을 모두 편평하게 펴 놓는다고 가정해 보자. 표면의
총
넓이는 신문지 한 장과 비슷해진다. 그러니까 단단하고 작은 두개골 안에 신문지처럼 넓은 뇌가 들어 있는 셈이다. 뇌가 이렇게 구겨져 있는 이유는 두개골 안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다.다른 동물과 비교해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마무리를 지어야 해. 또 이런 일이 벌어지면 나는 상대의 얘기를 끝까지 들어보지 않고
총
을 쏠지도 몰라. 윤환은 느린 동작으로 진환의 육체에서 베레모를 회수했다. 그리고 핵미사일 발사 시스템이 가득한 방의 전원을 모두 내렸다. 그가 방에서 나가는 동안 제어장치 앞에 서 있는 육체는 꼼짝도 ... ...
[수학뉴스] 지네를 닮은 로봇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상자 형태인 몸통 6개를 일자로 연결한 모습입니다. 몸통의좌우에는 모터 달린 다리를
총
12개 연결했습니다. 실제 지네는 오직 빠르게 움직일 때만 몸통이 꿈틀거립니다. 연구팀은 지네 로봇의 몸통을 연결하는 스프링의 성질에 따라서 지네 몸통의 높낮이가 어떻게 바뀌는지 분석했습니다.이때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만 파운드(약 580억 원)를 지원받는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총
예산 규모의 평균(약 1978억 원)에도 못 미치는 금액이다. 비슷한 형태를 ‘국책사업(기획과제)’이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그랜트와 콘트랙트의 차이는 상향식(Bottom-up)과 하향식(Top-down)이라는 점이다.분석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파노라믹 비전 카메라를 이용해 비행기에 접근하는 새를 탐지한다. 만약 새가 발견되면,
총
이나 포, 사이렌 등 30여가지의 소리를 상황에 따라 선택해 극지향성 음향송출기(선택한 방향으로만 음파를 보내는 장치)로 내보낸다. 새가 소리에 놀라 도망가게 하는 것이다. 레이저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