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뉴스
"
문화
"(으)로 총 3,529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인구집단의 경계 지역이 이 지역이라는 것이다. 그의 연구 결과를 보면, 고대 역사와
문화
는 특별한 사건에 의해 급격히 형성되거나 변화하는 게 아니다. 어떤 인류 집단이 등장하고 이동하며 누구와 만나면서 서서히 서서히 형성되고 변화하는 게 역사다. 정 교수팀이 1일 '네이처 ... ...
NASA의 격리 전문가가 전하는 코로나19 대응은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대한 경험이 많다”고 소개했다. 그는 “우주비행사들이 지구와 그들의 가족 및
문화
로부터 멀리 떨어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있는 건 위험한 일”이라며 “사회적 고립의 위험은 NASA가 걱정하는 것 중 하나”라고 말했다. 우주비행사를 고를 때 어려움을 잘 견뎌낼 수 있는 사람을 뽑는다. ... ...
한국 수학사 확립한 김용운 한양대 명예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0.05.31
만들며 국내 수학계의 지평을 넓힌 것으로 평가받는다. 2000년부터 2003년까지 방송
문화
진흥회 이사장으로도 활동했다. 김 교수는 수학뿐 아니라 인문학을 넘나들며 150권이 넘는 저서를 남겼다. 이중 일본어로 펴낸 책도 20여 권이다. 한국 수학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1977년 펴낸 ‘한국 ... ...
"한국인 생각보다 다양하다" 1000명 게놈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5.28
정밀의료 데이터를 마련할 예정이다. 박종화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다양한 국가 인종
문화
배경의 사람들이 게놈 기반 공공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시작됐다”며 “한국 국민은 물론 인류 전체가 널리 활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네이처 “한국R&D 톱다운 방식에서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전환”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양을 강조해 오면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평가했다. 염한웅 교수는 “이같은 낡은
문화
는 창의성 발현을 막는다”며 “논문을 많이 생산하는 데 충분히 좋겠지만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데는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네이처 인덱스는 한국의 R&D 투자 전망은 불확실하다고 평가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을 소중하게 여기는 국회가 되고 싶다면
2020.05.27
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
문화
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것이다. 우리는 이 과정을 체계적으로 새 컴퓨터 모델 시뮬레이션으로 적용하고 있다.
문화
영향도 방정식에 포함될 수 있다.” Q. 이 연구가 기후과학자들이 다른 분야와 협업할 기회라고 말했다. 논문을 혼자 썼는데 어렵지 않았나. “나는 지난 3년간 네안데르탈인 멸종 관련 문헌을 다 읽으려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
문화
교류' 근거 제시한 장신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개인 장식품 유물 중 가죽 옷을 만드는 뼈 도구는 네안데르탈인에게서 먼저 발견된
문화
행위”라며 “화석 중 치아 화석에서도 일부는 네안데르탈인의 형질도 발견됐다. 두 인류 사이의 혼합 결과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 역시 “네안데르탈인 유적지에서 발굴한 작품과 비슷한 것은 ... ...
방역당국 "황금연휴 이후 코로나 환자 43%가 20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5.22
것으로 생각한다”며 “하지만 사회공동체의 안전과 스스로 건강을 지키려면 청년층의
문화
가 '생활 속 방역'과 조화를 만들어나가야 할 시점”이라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디지털 시대의 과학출판혁명
2020.05.21
학계는 점점 더 창의적이고 위험한 연구가 아니라, 안정적이고 지루한 연구를 선호하는
문화
에 빠져들고 있다. 사전심사제도, 출판전에 이루어지는 폐쇄적이고 권위적인 큐레이션은 과학의 발전을 가로막는다. 발라베니와 다노비가 제안하는 급진적인 플랫폼에선 국제공조로 만들어진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