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밀도"(으)로 총 1,4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번개는 왜 피뢰침을 좋아할까?동아사이언스 l2013.07.14
- 끝이 둥근 곳보다 ‘뾰족’한 곳으로 떨어질 확률이 높다. 도체의 끝이 뾰족할 수록 전하 밀도가 높아 전계(대전체 주위에 전기력이 작용하는 장소)의 강도가 세지기 때문이다. 끝이 둥근 도체의 경우에는 전하의 고루 퍼져있어 전계의 강도가 약하다. 한국전기연구원 강성만 박사는 “적란운 ... ...
- ‘3+1’만 알면 8월 전기료 폭탄 피해갈 수 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3.07.09
- 전기 사용량을 평균 30% 이상 줄일 수 있다. 자칫 더울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밀도가 높아 바닥으로 내려가는 찬 공기의 특성상 에어컨의 냉방 온도 보다 우리가 생활하는 바닥 바로 위의 온도는 2℃ 정도 낮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28℃로 냉방 온도를 설정하게 되면 우리가 느끼는 실제 ... ...
- 베일 벗겨진 수성 표면의 나이동아사이언스 l2013.07.07
- ‘진짜’ 나이를 파악할 수 있게 된 것. 연구진은 수성의 전체 표면 중 크레이터의 밀도를 측정해 색으로 표시해 가장 크레이터가 많은 지역을 북부와 남부에서 두 곳 선정했다. 그리고 이 지역의 크레이터의 수와 지름 등의 자료를 수집했다. 그리고 수성의 표면이 달과 비슷하다는 점을 ... ...
- 리튬이온전지 대체하는 아연공기전지 빛 본다동아사이언스 l2013.07.03
- 음극, 공기 중의 산소를 양극으로 하는 전지다. 폭발성이 없고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밀도가 높아 전기차에 활용하면 더 멀리 주행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지만 촉매로 사용하는 ‘백금’이 비싸고 수명이 짧다. 연구진은 사람 몸속의 단백질 성분인 ‘철포르피린’이 촉매 작용을 한다는 ... ...
- 속속 발견되는 슈퍼지구...생명체 정말 살까?동아사이언스 l2013.07.02
- HD 97658b는 '슈퍼지구'로, 지구 반지름의 2배, 지구 질량의 8배로 밀도는 4g/cm^3정도로 지구 밀도의 70%수준이다. 슈퍼지구는 지구보다 질량이 크면서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있는 행성을 의미하는데, HD 97658b는 항성인 HD 97658 주변을 9.5일 마다 한 번씩 돈다. 이는 HD 97658b가 항성에 가까이 있기 때문인데, 이 ... ...
- 우리가 만든 핵연료 검증 위해 韓-美 손잡다동아사이언스 l2013.07.02
- 있다. 이런 상황에서 원자력연구원은 1997년부터 농축도가 20% 이하로 낮으면서도 밀도가 높아 성능이 뛰어난 저농축 우라늄 연구의 결실을 거뒀다. 우라늄과 몰리브덴 합금을 녹인 뒤, 빠른 속도로 돌아가는 원판 위에 뿌리는 방식으로 핵연료 분말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이 기술은 ... ...
- 1000배 빨리 급속 충전되는 마이크로건전지 등장과학동아 l2013.06.12
- 거리가 짧기 때문에 충전과 방전이 빨리된다. 이렇게 만든 마이크로전지의 출력밀도는 기존 초소형전지보다 2000배 높았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일반 전자제품을 위한 전지로 상용화 되면 같은 크기에서 10배 이상의 전력을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킹 교수는 "현재 몸에 착용해야하는 ... ...
- 화이트 푸드를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3.06.03
- 칼륨을 섭취하고 있고 마그네슘도 60%는 섭취가 부족하다. 칼륨이 결핍되면 고혈압과 골밀도 감소로 이어진다. 몸속에서 300가지가 넘는 대사반응에 관여하는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고혈압, 알츠하이머병,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등 다양한 만성질환에 걸릴 가능성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 ...
- "원더풀~ 외국인도 한식 먹으니 건강해졌어요"동아사이언스 l2013.05.23
- 김치, 반찬을 중심으로 식물성 식품 섭취를 강조한 식단이었다. 연구진은 한식이 에너지 밀도가 낮고 다양한 나물반찬이 인체 내 유익한 생리활성을 돕기 때문에, 콜레스테롤과 혈당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농진청 가공이용과 강민숙 연구사는 “이번 연구는 한식이 ... ...
- ‘창조의 기둥’ 속에 생명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3.05.23
- 표면의 가스는 ‘증발’돼 아주 천천히 성운을 빠져나간다. 하지만 기둥의 가스는 밀도 차이 때문에 동시에 빠져나가지 않는다. 어머니의 자궁 같은 ‘알’ 가장 큰 기둥 꼭대기를 보자. 가스가 증발되지 않고 남은 밀집된 영역이 독수리 발톱처럼 뻗어 있다. 바로 발톱 끝부분에 성운 곳곳에서 ... ...
이전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