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밧데리
축전지
건전지
전지
베터리
바테리
바떼리
뉴스
"
배터리
"(으)로 총 1,4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폰
배터리
용량 1.5배 늘어난다면…
과학동아
l
2014.04.09
적은
배터리
용량 때문에 짬이 날 때마다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건 요즘엔 선택이 아닌 필수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국내 연구진이 ... 자체가 간단하고 비용도 많이 들지 않는 게 장점”이라며 “상용화되면 스마트폰의
배터리
용량이 약 1.5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캥거루 로봇, 점프가 ‘살아있네’
과학동아
l
2014.04.08
캥거루 로봇이 점프한다. 이후 착지할 때 아킬레스건이 다시 한번 당겨지며
배터리
에 운동에너지가 저장된 뒤, 다음 점프에 이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결국 적은 전력으로 동작하는 캥거루 로봇을 만든 것이다. 훼스코 관계자는 “캥거루 로봇은 위로는 40cm가량 점프할 수 있고 한 ... ...
실종 한 달 만에 신호 보낸 블랙박스, 그동안 어떻게 버텼나
과학동아
l
2014.04.07
핑거 로케이터'(TPL)’를 이용해 찾을 수 있다. 블랙박스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가 있어 6000m의 바닷속에서 최소 30일까지는 버틸 수 있다. 박종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인증연구센터장은 “보통 비행기는 EPL이라는 전파위치신호장비로 사고 시 자기위치를 알리기 때문에 ... ...
피부에 붙였더니 전기가 나오네?!
과학동아
l
2014.04.07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만 활용될 수 있어 실제 많은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스마트폰
배터리
대체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전력 생산을 늘리려면 면적도 늘려야 하는데 마냥 늘릴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소자의 면적 단위당 성능을 더 끌어올려야 한다는 의미다. 조 교수는 ... ...
소리로 스마트폰 충전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3.25
까지 높여 본 결과, 30볼트(V) 이상의 전압이 생성됐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 기종의
배터리
전압 규격이 3.8V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충분히 충전할 수 있는 결과치다. 김 교수는 “소리 진동을 이용한 마찰전기 생성은 현재 전압은 충분하지만 전류가 수십 밀리암페어(mA)에 그쳐 충전 ... ...
몸 속에서 녹는
배터리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5
인체 깊숙한 곳이나 뼛속에서는 충전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생분해성
배터리
는 거의 모든 부위에 사용할 수 있어 이식형 의료기기의 미래를 한층 더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 저널인 ‘네이처’ 24일자에 소개됐다. ... ...
배터리
? 인프라?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4.03.19
속은 인산망간리튬(LiMnPO4)로 된 이중구조의 2차전지 양극 소재를 개발한 바 있다. 기존
배터리
에 비해 폭발 안전성이 500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급속·무선 충전 인프라 각광받을 듯 아파트 주차장(왼쪽)과 대형마트 주차장(오른쪽)에 설치된 에 마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모습. 최근 ... ...
“엔진부위 고무배관 꼼꼼히 확인하세요”
동아일보
l
2014.03.18
방전되다 보면 제품 성능이 떨어지기 쉽다는 설명이다. 서 정비사는 “성능이 떨어진
배터리
를 사용하다 보면 결국 발전기에까지 무리가 가기 쉽다”고 말했다. 윤활유 상태를 확인해볼 필요도 있다. 급격한 온도차로 발생한 수분이 윤활유에 섞이면 점성이 떨어지면서 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 ...
키 늘리고 몸무게 줄인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2014.03.16
크기의 기존 항공기에 비해 연료를 20% 적게 사용하고도 같은 거리를 날아간다. 최근
배터리
불량으로 화재 사고가 잇따르자 일시적으로 미국연방항공청(FAA)에서 운행중지 명령을 내린 상태지만 단점만 보완되면 대한항공도 이 항공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보잉은 B-787에 쓰인 기술을 적용해 차기 ... ...
올해 대형 태양흑점 폭발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9
원활하지 않은 상태다. KT와 국방부가 공동으로 3000억 원을 투입해 발사했지만, 수년 내에
배터리
효율이 급속히 떨어질 경우 대체위성 발사를 해야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무궁화 5호처럼 인공위성 고장의 대부분 원인은 태양에서 나오는 고에너지 전자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특히 태양흑점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