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매자
매주
뉴스
"
사는 사람
"(으)로 총 1,506건 검색되었습니다.
쥐의 웃음이 가득한 곳은?
2014.11.16
고등학생과 상경·이공계 대학생 등 수많은
사람
을 깊은 고민에 빠뜨리는 미적분. 사실 미적분은 ... 않다. 정확한 와인 값을 계산하기 위해 나선
사람
은 천문학자인 케플러다. 케플러는 와인 통을 원 ... 80%를 관할하는 면역의 중추이자 우리 몸에
사는
박테리아의 99%가 모여 영양소와 에너지를 ... ...
야식이 비만·당뇨를 유발하는 이유
2014.10.26
사실을 밝혀냈다. 에란 엘리나브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 박사팀은
사람
이나 동물의 생체리듬이 깨지면 이들 장 속에
사는
장내미생물의 생체시계도 교란된다고 ‘셀’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생쥐의 대변을 6시간 간격으로 채취하며 장내세균의 개체수와 점유율을 관측했다.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그런데 지난 이삼 십 년 사이 점점 더 많은
사람
들이 일주리듬 교란을 겪고 있다. 1982년 ... 크게 늘어난 스튜어디스 등 낮과 밤을 거꾸로
사는
사람
들이 점점 늘고 있다. 이런 현상은 꼭 우리나라만의 일은 아니어서 선진국의 경우 밤에 일하는
사람
의 비중이 15~20%이고 주중 낮에 근무하는 ... ...
12월부터 에볼라 감염자 1주일에 1만 명씩 는다
2014.10.15
탔다. Z맵을 개발한 미국 맵바이오파마큐티컬
사는
공정을 수정해 지금까지 소량밖에 만들 수 없던 ... 처방을 받는다 하더라도 누군 죽고 누구는
사는
것이 이상한 일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Z맵은 ... 공식을 세우기엔 무리가 있다. 에볼라를 극복한
사람
의 피(혈청)는 간이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다 ... ...
물 마시려면 잎스폰지보다 이끼스폰지로
2014.10.07
맛도 며느리에서 며느리로 이어진다. 이렇게
사람
은 기술을 가르쳐 주고, 배울 수 있다. 최근 ... 캐나다 퀘백대 등 국제 연구팀은
사람
뿐 아니라 동물도 기술을 공유할 수 있다는 ... 연구팀은 우간다의 부동고 산림지역에
사는
침팬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 침팬지는 각자 다른 ... ...
밤샘 좋아하면 싸이코패스?
과학동아
l
2014.10.05
교체해줘야 한다. ▲ 극지과학상 순록은
사람
을 무서워할까 북극곰을 무서워할까. 진심으로 ... 가죽을 뒤집어쓰고 직접 시험해봤다. 북극에
사는
스발바르 순록은
사람
을 더 무서워했다. 북극곰 가죽을 뒤집어썼을 때보다, 그냥 다가갔을 때 2.5배 빨리 도망치기 시작해서 2.3배 멀리 도망쳤다. ▲ ... ...
“나 그렇게 만만한 대장균 아니야”
2014.09.21
결과 농사를 지었던
사람
과 수렵 채취를 했던
사람
사이에는 눈동자 색과 소화효소를 결정하는 유전자 등에 차이점이 나타났다. 특히 농사를 지었던
사람
의 경우, 동유럽에
사는
민족과 유전자가 비슷했다. 따라서 연구팀은 농경문화가 동유럽에서 왔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또 연구팀은 이들 ... ...
긴팔원숭이 팔은 왜 길어졌나
2014.09.14
줄였다”고 설명했다. WHO의 가렛 멜 박
사는
“원격 의료를 도입하면 아프리카처럼 경제적, 지리적 이유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지역에
사는
사람
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무선 기기를 이용해 먼 곳에서도 의사와 만날 수 있고, 의사를 직접 만날 때 보다 비용이 덜 든다는 ... ...
한국
사람
에겐 신토불이 장수 유산균 ‘LF9988’
2014.09.12
이끈 연구진이 전북 순창군 귀주마을 등 8곳에
사는
장수인의 장 속에서 한국형 장수 유산균 ‘LF998 ... 8곳을 찾아가 건강한 장수인 105명의 장 속에
사는
유익균을 조사했다. 그 결과 18종에 속하는 ... 안전성 논란이 일었다. 유산균의 내성이
사람
에게 전이되면 위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럽연합(EU)은 ... ...
“과학으로 소통하는 세상 꿈꿔요”
2014.09.10
접어야 했다. 이때 황 교수가 생각해 낸 것이 바로 과학 블로그다. 모든
사람
이 마음껏 볼 수 있고 서로 소통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 “미래 ... 보였고, 한국에 교수로 부임한 뒤 결혼에 골인했다. 부부 과학자로
사는
것은 어땠을까. 황 교수는 “둘이 분야가 비슷해 출산휴가 때 남편이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