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특성"(으)로 총 1,66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2017.04.25
- 때 안면기형이 되는 유전자들도 있었다. 흥미롭게도 양안 간격이나 코 관련 두 가지 특성은 곡률을 분석해 찾은 얼굴에서 유전성이 큰 부분과 겹친다. 아무튼 유전성이 큰 부위에 작용하는 유전자들의 실체를 규명한다면 ‘얼굴 유전자’의 실체가 드러날지도 모른다. 이 분야 연구자들의 궁극적인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 유능하고 유머러스한데 정직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하는 등 어떤 사람을 설명하는 특성 10개 중 9개가 좋아도 한 개가 안 좋은 내용이라면 안 좋은 사람이라고 판단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같은 단위의 긍정적 정보보다 부정적 정보의 힘이 훨씬 큰 것이다. GIB 제공 ● 나쁜 일이 더 눈에 잘 띈다 또한 ... ...
- [사이언스 지식IN] 봄꽃 앞다퉈 피는데… 우리 집 화분은 왜 아직 겨울잠?동아사이언스 l2017.04.07
- 꽃 화분이 많은데, 우리집 화분에는 왜 꽃이 피지 않을까요? A. 꽃을 피우려면 식물의 특성을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꽃을 피우게 하는 개화 유전자를 발현시켜야 하는데, 이 조건은 식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꽃은 식물의 번식 수단이라 충분한 영양분이 필요한 것은 기본이며, 햇빛이나 온도에 따라 ...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분야 전문가인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에 사용한 합성법이 효모 특성에 맞춘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진핵세포에 그대로 사용하긴 어렵다”면서도 “적어도 진핵세포 유전체 합성의 시발점이 된 것으로 향후 ‘인간 유전체합성 프로젝트’ 등에 참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2017.02.21
- 일반 속씨식물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즉 몇몇 유전자의 변이와 발현 차이가 이런 특성을 만들었다는 말이다. 이를 좀 더 명확히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들은 일반 잎이 형성될 때와 포충낭이 형성될 때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일반 잎이 만들어질 때는 광합성과 관련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것이다. EDAR은 BMP:SHH 신호전달 과정에 관여하는 수용체 단백질이다. 당시 저자들은 이런 특성이 수만 년 전 동아시아 기후가 고온다습해 그에 대한 적응으로 진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동아시아 사람들의 털 밀도는 서구나 아프리카 사람들에 비해 낮다고 한다. 그때는 그 의미를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AI의 발전에 기반이 될 기초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은 원자의 양자적 특성과 제어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는데, 이는 양자컴퓨팅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로 1000년이 걸리는 계산을 양자 알고리즘을 이용해 4분 만에 답을 낼 수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2017.01.31
- collective narcissism)이 한 가지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나르시시즘은 다음과 같은 특성들로 정의된다: 과하게 긍정적인 자기지각(자신이 대단하고 엄청난 사람이라고 생각함), 자신은 사람들로부터 인정 받고 대접받을 자격이 있으며 그래야 마땅하다고 생각함(sense of entitlement), 자신의 대단함을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성공, IQ보다 성격에 달렸다?!2017.01.10
- 이전부터 주목 받아 왔다. 어떤 학자들은 IQ같은 인지적 능력을 hard skill, 성격 같은 특성을 soft skill로 구별하면서 사실 성적 못지 않게 ‘취업’같은 영역도 사회성 같은 soft skill들에 크게 좌우될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실제로 사회성이 좋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취업이 잘 되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하나만 놓고 보면 CNT트랜지스터가 실리콘반도체트랜지스터보다 효율이 높고 전기적 특성이 좋지만 손톱만 한 면적에 트랜지스터 수십 억 개가 배치돼야 하는 반도체 칩은 다른 차원의 얘기다. 따라서 집적도는 높지 않지만 실리콘반도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특수한 분야에 한해 개발되고 있는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