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699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르스 비상]2015년엔 ‘초동 대비 실패’가 피해 키워...밀접 접촉자 관리 만전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지난친 혼잡과 여러 명이 이용하는 다인병실이 병원 내 감염 확산의 주요인”이라고
발표
했다. 감염 유행을 막아야 할 병원이 오히려 감염의 핵심 통로가 된 것이다. 2차 유행의 발단이 된 14번째 환자의 경우, 2015년 5월 27~29일 3일 동안 환자가 응급실에 머물며 진료구역과 방사선 촬영실, 화장실 ... ...
[메르스 비상] 3년 만에 발생, 앞으로 2주 확산 고비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환자 접촉 21명 격리 확산 앞으로 2주가 고비 위기경보 '관심'→'주의' 격상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격리병실이 통제되고 있다.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6 ...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자 상황 및 관련 대책을
발표
하고 있다. 뉴시스 제공. ... ...
‘불안한 나, 겁 없는 너’ 차이는 뇌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두려움을 느끼는 정도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OLM 세포가 ‘위협 속에서 안전함을 느낄 때’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천적을 피해 숨었지만, 천적이 바로 가까이 있음을 아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런 때 뇌 속 OLM 세포는 ... ...
‘중국판 황우석 사태’ 논란 “조작 의도 없다”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 매체인 jqk뉴스는 “지난해 8월 조사위를 꾸린 이후 이번
발표
가 있기까지 허베이과기대 측이 조사 과정에 대한 어떤 내용도 밝히지 않았다“며 “조사가 제대로 이뤄졌는지조차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차이나데일리도 “1년 여간을 기다린 조사 결과가 짧은 ... ...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8.09.08
그렇다면 맛도 뇌에 저장될 수 있을까? 국제학술지 ‘신경과학 저널’ 2014년 8월 13일자에
발표
된 논문에 따르면 맛에 대한 부정적인 기억은 뇌의 해마와 섬피질에 함께 저장된다. doi:10.1523/JNEUROSCI.0956-14.2014 연구를 주도한 코비 로젠블럼 이스라엘 하이파대 신경생물학과 교수는 논문에서 해마에 ... ...
[표지로 읽는 과학]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12만년 전 피를 섞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8
찾았던 소녀의 화석 유전자를 정밀 분석한 연구 결과를 8월 22일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다. 이 소녀의 화석은 학계에서 ‘데니소바11’로 불린다. 뼈에서 나온 콜라겐 단백질을 대상으로 질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약 5만년 전에 생존했던 13살 이상의 여성으로 확인된 바 있다. 연구진은 이 ... ...
[세계수학자대회 On Air] 김기자의 숏터뷰 '개성만점 수상자들'
수학동아
l
2018.09.07
수 없었다. 그래도 사진은 잘 찍어줬다는 사실! 숄체 교수는 강연자 중 유일하게
발표
자료를 손으로 직접 써왔다. - 2018 ICM 제공 *출처 : 수학동아 9월호 '2018 브라질 세계수학자대회를 가다 ... ...
“여성과 이민자 등 소수자를 위해 써달라” 34억 상금 전액 기부한 여성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8.09.07
영국물리학회장을 역임했다. 마이클 패러데이상 등 굵직한 상을 여럿 받은 끝에 펄서
발표
50주년을 맞는 올해 브레이크스루 상을 받았다. 버넬 교수는 즉시 "상금 전액을 여성과 소수민족 학자를 위해 써달라"며 전액 기부할 뜻을 밝혔다. 그는 “내가 펄서를 발견한 것도 내가 소수자였기 ... ...
전자현미경으로 그린 3D 초파리 뇌
과학동아
l
2018.09.07
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정밀한 3차원(3D) 지도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셀’ 7월 19일자에
발표
했다. 초파리는 구애 춤을 추거나 학습을 하는 등의 행동을 하지만, 그간 이를 조절하는 신경 회로는 알려지지 않았다. 데비 보크 미국 하워드휴스 의학연구소 그룹리더가 이끄는 연구팀은 초파리(Drosophila ... ...
‘플라스마 파도’ 만들어 입자 가속...소형 가속기 실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9.07
겨우 10m 가속해 에너지를 100배 수준까지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8월 29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건설비만 수조 원에 이르는 길이 수십 km대의 가속기를 1km보다 작은 크기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에 비유럽권 연구자로는 유일하게 김성열 UNIST 물리학과 연구원과 정모세 ... ...
이전
1406
1407
1408
1409
1410
1411
1412
1413
1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