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1,623건 검색되었습니다.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06
내는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 계속하면 불량품이 나오기 십상이지요. 제가 만든 망원경을
막
내 아들이나 손자뻘 되는 애들이 쓰는데 어떻게 불량품을 내놓습니까. 짜증을 내면 달래기 위해 쉬어가면서 합니다."김씨는 자기의 고유번호가 붙은 하나하나의 망원경에 혼을 불어넣고 있는 셈이다.나이가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06
모니카시처럼 풀뿌리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데 사용될 지 아니면 권력쪽에 제공되는
막
강한 힘이 될 지가 판가름 나기 때문이다. 더구나 현재 우리 나라처럼 서비스의 내용이 빈약한 상태에서 통신이 개방된다면 정보 선진국인 외국에 잠식당할까 우려 된다고도 했다. 결국 통신회사나 사용자들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06
물리학계에 널리 이름을 알리게 되는 계기가 됐다.페르미연구소로 가다66년 이휘소는
막
설립된 뉴욕주립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 학교는 저명한 물리학자 톨이 총장으로 있고 중국인으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35세의 양진녕(楊振寧)박사까지 가세해 한창 연구열기가 달아오르는 곳이었다. 그후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06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의 경우에도 지적 훈련을 계속하면 뇌의 퇴화를
막
을 수 있으리란 기대가 강해지고 있다.많은 연구들이 아직 진행중에 있지만 관련학자들은 연구가 진행될수록 노화와 뇌기능 퇴화에 관한 지금까지의 속설이 대폭 수정돼야 할 필요를 느낀다고 말한다."중요한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06
이미 항공모함을 소유했을 정도로 조선공학은 그 기초가 단단한데 요즘에는 인류의 마지
막
보고라고 불리는 바다 속을 샅샅이 탐사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 주역은 81년에 건조된 신카이(深海)2000이라는 잠수함으로 이 배는 바다 밑 2천m까지 내려갈 수 있다. 또 티탄합금을 소재로 만든 신카이 650 ... ...
21세기 우주수송수단은 어떤 모습?
과학동아
l
199105
컬럼비아호가 발사돼 3일 후인 4월15일 지구에 무사히 귀환함으로써 우주왕복선 계획은
막
이 올랐다. 10년동안 38회를 운행함으로써 수많은 인공위성을 지구궤도에 올렸고 약2백명의 우주비행사들을 지구에서 우주로, 다시 우주에서 지구로 귀환시켰다.우주왕복선의 탄생은 '싸고 효율적인' ... ...
과학기술의 힘으로 물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105
있다. 따라서 선진국에서는 일회용 물품 재료를 분해되는 고분자로 대체해 환경오염을
막
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고분자의 개발은 환경보전의 측면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서 몇가지 방향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 전분을 기존의 합성고분자와 공중합(共重合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05
좀더 기다려보기로 결정했다. 신제품을 개발한 회사는 낙심천만이었다.
막
팔려고 내논 제품들이 전시장에서 먼지만 뒤집어쓰고 있었다. 그 회사는 IBM을 제소했고 재판은 몇년을 끌었다. 결국 IBM의 흑색선전이었음이 밝혀졌다. 이 싸움을 지켜본 많은 사람들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라고 평했다.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05
어류는 현미경으로 볼 수밖에 없는 많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세포는 얇은
막
으로 싸여있고 내부에는 핵(nucleus)이라고 불리는 작은 구(球)가 들어있어 각 세포마다 한마리의 어류를 만들어내는데 필요한 설계도가 담겨있다.1965년 멘델은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성질을 전하는 것을 '인자'라고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04
진학하여 석사논문의 실험을 하면서 겨우 금속학에 관한 감을 잡게 되었다. 그러나
막
상 직장인 연구소(KIST)에 들어와 실제로 금속재료에 대한 연구를 해보니 또 다시 난감해졌다. 국민학교부터 대학원까지 18년간 배운 지식이 무용지물이 아닌가 하는 회의도 일어났다. 다행히 시간이 지나면서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