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4,56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06
어느 순간에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지 눈으로 확인할 길이 없다. 이륙한 지 수십
초
만 지나도 로켓은 하늘을 뚫고 올라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항공우주일러스트레이션이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을 낱낱이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자연과 상상력 넘나드는 예술한국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06
해왔던 일이다. 그러니 투표에 관한 한 인간은 꿀벌 앞에서 콧대를 세울 수 없다.
초
여름이 되면 온통 주변에 먹을거리가 넘쳐나 꿀벌의 무리가 늘어나고 대부분의 벌집은 북새통을 이룬다. 그래서 이때쯤 엄마 여왕벌은 자기 딸을 위해 자기가 살던 터전을 딸에게 넘겨준다. 그리고선 벌집 안의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안녕! 나는 역사상 최
초
의 건축가로 알려진 임호텝이라고 해. 나는 지금으로부터 약 4670년 전 이집트에 인간이 만든 가장 높은 건물인 피라미드를 ... 익혀서 놀라운 첨단 기술 발전시켰다는 소문이 들려오기를 기다리고 있을게!참, 돌아가기 전에
초
고속 엘리베이터나 한 번 타 봐야지! 슝슝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05
니콜라스 블룸베르겐과 함께 1981년에 각각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러나 세계에서 최
초
로 레이저 발진에 성공한 시어도어 메이먼은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레이저 개념의 창시자인 굴드도 과학자로서의 명예를 찾지는 못했다. 그는 특허 출원에도 실패하고 자신의 레이저도 완성하지 못했다.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05
만능 풍토에 경종을 제시한다.또한 김우재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연구원은
초
파리 연구에서 시작된 현대 유전학과 진화생물학의 탄생 과정을 짚어낸다. 특히 현대물리학에 문외한인 직장인에게 난해한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이종필 연구원의 ‘샐러리맨 전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05
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나노과학을 공학에 응용시키는 것을 배운다.
초
기 대학원은 나노협동과정에서 시작됐고 융합대학원이 만들어지면서 나노융합학과로 발전했다. 즉 기본적인 필수 과목을 배운 후에 자신이 택한 주 응용분야와 나노분야를 융합하는 응용 학문을 배우고,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5
광결정에 빛을 발생시키고 증폭시키는 실험에 성공해 1μm의 ‘
초
미니 레이저’를 세계 최
초
로 만들었다.그런데 최근 공명기의 크기가 레이저광의 파장보다 작아질 수 없다는 고전적 진리(?)가 깨졌다. 스위스 연방공과대 연구팀이 길이가 30μm, 높이가 8μm인 마이크로 크기의 레이저(공명기)에서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05
계기도 ‘세포의 일생에서 중요한 것은 뭘까’라는 호기심이었다고 말한다. 리보솜 연구
초
기에 당시 바이츠만연구소 소장이었던 마이클 셀라는 요나트 박사가 대단한 잠재력을 가졌기 때문에 이 연구에 많은 돈을 지원해야 한다고 키멜만 가문을 설득해 엄청난 후원을 이끌어냈다고 한다.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05
지난해 12월 아이폰을 처음 손에 쥐었을 때 감동을 잊지 못한다고 했다. 스티븐 잡스가 올
초
아이패드를 공개하자 그는 아이패드도 사용해보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됐다. 올 3월 미국 애플 본사가 예약판매를 시작하자 구매를 예약했고 미국에 있는 친지를 통해 4월 7일 누구보다도 빨리 아이패드를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05
대답한 학생보다 더 우수한 영재일까.만일 내 시계가 정밀하고 위성에서 온 신호는 0.1
초
이전에 보낸 것이라면 나와 위성 사이의 거리는 29만 9792.458km(빛의 속도) × 0.1
초
=2만 9979.2458km이다. 그런 점은 위성을 중심으로 반지름 2만 9979km인 구의 표면에 있는 모든 점들이다. 위성 2개와의 거리를 알면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