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부"(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해에는 작심66일! 굿바이 게으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전날 ‘벼락치기’를 좋아하는 친구들 주목~! 짧은 시간 동안 집중하면 오히려 꾸준히 공부할 때보다 큰 효과를 볼 때도 있다. 이것은 긴장했을 때 집중하는 것을 돕는 아드레날린 호르몬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일이 반복되면 몸이 점점 적응하면서 벼락치기 효과도 떨어진다. 결국 ... ...
- [참여] 수학동아 게임카페 수학적 사고는 게임의 기초!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것을 게임으로 만들면 좋겠다 싶어 만든 게 바로 테트리스입니다. 게임 자체를 열심히 공부하는 게 게임을 잘 만드는 길은 아니에요. 수학이나 과학도 좋고 미술도 좋아요. 여러분이 알고 있는 지식에서 출발하면 굉장히 다양한 게임을 만들 수 있어요.”한 눈에 보는 게임 디자인게임 제목 : 게임을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게 금방되지 않거든요. 저희들은 의사를 이해하기 위해 해부학·생리학·일반화학을 공부하고 수술도 여러 번 참관했어요. 그 10년의 시간이 바로 우리의 경쟁력입니다.” 바이오잉크로 살아있는 장기 찍어낸다 심 교수는 현재 줄기세포를 3D 프린터로 만든 집(스캐폴드) 안에 넣은 채 손상된 장기에 ... ...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높을 수밖에. 돌아오는 기차 안, 4년 공대 생활이 주마등처럼 머릿속을 스쳐갔다. ‘공대 공부를 계속 했더라면’ ‘요즘 시대에 공대를 다녔더라면…’ 부질없는 생각의 결론은 이랬다.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자신을 성장시키는 과정은 고되다. 하지만 고된 만큼 성장한다.▼관련기사를 계속 ... ...
-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되거든요.Q 전자공학을 전공했는데 작품 활동에 도움이 됐나요?A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공부를 썩 열심히 하는 편도 아니었고요. 인두질을 하거나 납땜을 하는 것은 인공위성을 만들면서 몸으로 부딪히며 배운 겁니다(송호준 작가는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를 2005년 졸업했다).Q 앞으로 어떤 ... ...
- [1학급 1과학동아 캠페인 안내] 신나는 과학 꿈꾸는 교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을 키우는 데 ‘놀이’만한 공부는 없습니다. 이제 신나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놀이로 ‘과학’을 선물하는 건 어떨까요. 친구들과 함께 생각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호기심이 생겨납니다. 학생들의 꿈이 자랍니다. ...
- [Fun] 수학과 과학은 답을 알고 있다? 천만의 말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밀접한 주제를 포괄적으로 다뤘다.공동 저자 중 한 명인 마루야마 아쓰시는 “학교에서 공부하는, 답이 나와 있는 문제는 미해결 문제를 다루기 위한 준비 과정”이라며 “과학의 진수는 역시 미해결 문제에 있다”고 말한다. 그 즐거움이 궁금하다면, 책을 읽고 주변의 미해결 문제에 주의를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전자공학을 공부하는 후배님이라면 물리, 수학, 생물 수업을 추가로 들어보세요. 더 넓게 공부하세요. 지식이 없으면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없습니다. 이제는 바이오이미징 시대 전자공학의 라이징 스타Q 요즘 뜨는 분야는.제 입장에서는 당연히 바이오이미징(생명현상을 시각화하는 연구)입니다.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내 보물 말이냐? 원한다면 줄 수도 있지. 찾아봐라! 이 세상 전부를 거기에 두고 왔으니!’ 동굴에 보물이 숨겨져 있다는 정보를 입수한 보물 ... 1기 수료?! 거대한 명예가 이거였어? 어차피 이렇게 된 거, 동굴에 대해 더 공부해서 동굴 마스터가 될 테야! 박사님~, 동굴 탐사 같이 가요~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쉽죠. 근데 생각이 게을러지면, 수학 능력도 게을러져요. 수학만큼 부지런하게 공부해야 하는 과목도 없거든요. 만약 수학을 더 잘하고 싶다면, 끊임없이 ‘왜?’라고 생각하고 게을러지려고 하는 마음을 다그치세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잠재 수학 능력을 깨울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자기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