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구
문짝
출입문
도어
게이트
현관
출입구
d라이브러리
"
문
"(으)로 총 2,311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초등학생을 상대로 한 현장감 있는 생명과학 관련 만화를 그려보고 싶다. 하지만 시간이
문
제다.생생현장 따라잡기어린 시절 추억을 되살린 전시회“여보세요? 이두호 선생님이시죠?”“네, 맞습니다만….”“네, 저는 한양대학교의 신인철입니다. 선생님, 이렇게 전화 나누게 돼 영광입니다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2007년에는 30건이 넘었을 정도로 해마다 가파르게 늘고 있다. 전
문
가들은 기술적인
문
제를 해결하는 일 만큼이나 인체통신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를 찾는 일도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2015년.우리 몸에 더욱 가까워진 통신 기술이 그리는 세상을 상상하는 일만으로도 즐거워진다.내 몸에 ... ...
산호초로 기후변화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중이다. 나무의 나이테와 마찬가지로 산호는 과거 기후의 역사를 고이 간직하고 있기 때
문
에 미래의 기후를 예측하는 데도 유용하다.산호초는 지구온난화를 늦추는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수온 변화에 민감해 기후 변화의 최대 희생자이기도 하다. 실제로 수온이 1~2℃만 올라가도 산호초의 조류가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멘토는 없다. 그러나 학생이 인턴으로 현장에 파견될 경우 책임자가 멘토 역할을 하기 때
문
에 남성일 경우가 있다. 한 박사를 비롯해 질병관리본부 조인호 박사와 윤기정 연구원도 남성 멘토로 활약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멘토링은 나의 힘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2. 기업의 또 다른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하면 위조는 거의 불가능해져. 또 하나, 인식 방법 자체를 발전시키는 방법도 있어. 지
문
의 경우 손가락의 온도를 함께 측정하거나 사람의 몸에 전기가 통하는 특징을 이용하면 위조가 불가능해진단다.미래에는 밖에서 집 안을 맘대로 조종하거나 멀리서도 내 컴퓨터를 쉽게 쓰는 등 언제 어디서나 ... ...
정전기가 자동차를 태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내 차 물어 내라구욧! 흐어어어엉~!”한겨울의 정적을 깨고 비명에 가까운 울음소리가 들려왔다.“타탁~! 화르르르륵!”어라? 이건 또 무슨 소리? 게다가 ... 욕실에 걸어 놨다가 입기.④ 웬만하면 차 밖으로 나가지 않기. 어쩔 수 없이 나갈 때는 차
문
을 열기 전에 금속성 물체를 건드리기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어류는 빛깔의 변이가 심해 청색 · 황색 · 녹색 · 적색 · 등색을 띠며 줄무늬 · 반
문
(班紋)이 있다 C F 바이츠제커가 1943년에 제창한 태양계 기원설 태양 부근의 기체의 난류를 수학적으로 해석하고 그 소용돌이에 의해 우주진(宇宙塵)이 응집해서 행성(行星)이 형성된다는 설이다 정자의 첨체(尖體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연료탱크를 블랙라이트로 비춰보면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지
문
채취가 필요한 범죄 현장이나 과학관, 공연장의 조명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예외적으로 부유하거나 성공한, 또는 아름답거나 권력을 지닌 사람들을 집중조명하기 때
문
에 우리는 그런 사람들이 흔한 것으로 착각해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고 진단했다. 해결책은 가족, 친구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TV시청을 줄이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지혜 담긴 집 한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수 있는 지름길도 있다. 한옥에서 발걸음 수가 많다고 느끼는 까닭은 지름길을 모르기 때
문
이다.효율을 살리는 것을 기능이라고 할 때 한옥은 분명 기능적이다. 지름길은 기능주의의 대표적 형식이다. 다만 효율의 존재를 다원주의적 요소 속에 묻어두고 꼭 필요할 때에만 꺼내 쓰게 했을 뿐이다.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