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응"(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향이 나는 대장균 향수, 포도주 성분이 들어가 있어 몸에 좋은 맥주, 몸 안의 특정 성분에 반응해 변 색깔을 바꾸는 유산균 캡슐 등 가지각색이다.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2009년부터 매년 학생들과 함께 아이젬에 작품을 출품하고 있다. 합성생물학을 우리나라에도 알리자는 목표로 ...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활동을 정상으로 돌려놓는 치료도 있다. 보통 무언가에 놀라면 뇌의 편도체가 반응하는데, 이성적으로 놀랄만한 일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전전두엽은 놀란 마음을 진정시킨다. 그런데 놀라는 일이 계속 일어나면(학대가 지속되면) 전전두엽의 피드백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만성적인 ‘놀람’ ... ...
- [Tech & Fun] 왜 피해자를 비난하기 쉬울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강자가 더 많은 동정표를 얻고, 약자의 입장에 처할수록 (약하니까) 당할 만하다는 반응이 많다(doi:10.1016/j.jesp.2010.10.014). 강간 피해자의 경우 피해 여성이 전통적인 성 역할에서 벗어날수록 더 많은 비난을 받는다. 술을 마신 피해자들이 그렇지 않은 피해자들에 비해 큰 비난을 받기도 한다(doi:10.1016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학부 과정에서는 화학과 생물학을 중점적으로 배우지만 자연대와는 달리 열, 물질 전달, 반응공학 등 공학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이 다릅니다.김현수: 전공을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황석연: 이건 제 경험과 연관 지어 말할 수 있겠네요. 제가 학부에 진학할 때 한창 IT 붐이 일어 ... ...
- [과학뉴스] “ 또 왔니?” 얼굴 기억하는 남극 갈매기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는 연구원과 그렇지 않은 연구원을 짝지어 둥지에 접근시켜 갈색도둑갈매기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실험을 했다. 총 7쌍의 갈매기에게 반복한 결과, 새들은 모두 이전에 봤던 연구원을 쫓아가며 공격했다. 까마귀나 까치에게 유사한 특성이 나타난다는 연구는 있었지만,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 ...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살아 움직인답니다.이때 액체가 넘치지 않도록 발포제는 4분의 1 크기로 잘라 넣고, 반응을 보면서 추가로 넣는 것이 좋아요. 라바램프를 완성하자 형광 빛을 발하는 물방울들이 퐁퐁퐁솟아올라 마치 액체가 살아 움직이는 듯했어요. 실험실의 불을 끄자 형광 물방울이 더욱 선명하게 보였답니다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음식물이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예요. 음식물을 실온에 보관하면 지방이 산소와 반응해 맛이 변하고 미생물이 번식하여 썩게 되는데, 질소가 이를 막아 주거든요. 또 과자봉지 안을 질소로 채우면 외부의 충격을 받거나 서로 부딪혀 과자가 부서지는 걸 막을 수 있답니다.산소는 ‘신맛으로 ... ...
- [과학뉴스]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좁은 부위의 특정 근육만을 선택적으로 조종하기 어려웠다.연구팀은 파란색 빛에만 반응해 움직이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근육세포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것을 고무링 모양으로 성장시킨 뒤, 3D프린터로 출력한 7mm~2cm 길이의 뼈대 구조에 부착해 로봇을 만들었다. 여기에 빛을 비췄더니 근육이 수축과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발견했다. 남동생을 불러다 앉힌 다음, 원료를 이것저것 섞어서 놋쇠 탄약통에 재워 넣고 반응을 살펴보는 실험을 했다. 쾅! 탄약통이 폭발했고 해밀턴은 까무러쳤다. 장시간에 걸친 수술로 다행히 목숨을 건졌지만, 해밀턴은 세 손가락의 일부를 잃었고 가슴에 평생 놋쇠 파편을 지니고 살게 됐다 ...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배척한다. 주위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등 정체성의 위기를 느낀다면, 가장 흔한 반응은 위협의 원천이 되는 대상의 부정적 측면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거절당했다면, 그때부터 그 사람의 단점을 캐내 나를 거절한 이를 ‘별것 아닌 존재’로 만들거나 ‘믿을 만하지 못한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