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풀어 줄 생물도 숨어 있답니다. 이들 모두가 바로 과학자가 찾는 동굴의 ‘보물’인 셈이에요. 탐험 2 석순 속 기후변화 단서를 찾아라!“아이고, 길이라도 제대로 나 있으면 좋으련만!”“대체 동굴에 이 삐죽삐죽한 돌들은 왜 자라는 거야? 넘어지기라도 하면 큰일 나겠어!”동이와 굴이는 이 ...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기계를 만들고자 했던 열망이 우리 삶을 획기적으로 바꾼 컴퓨터의 발명으로 이어진 셈이다.독일의 수학자 다비드 힐베르트는 1900년 프랑스 파리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서 20세기에 수학자가 풀어야 할 수학 난제 23개를 소개했다. 그 중에서 2번 문제는 산술 공리에는 모순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라는 ...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한 조사였다. 4대강 사업이 환경이 아닌 건설 사업이었다는 게 보고서에서도 드러나는 셈이다.보고서를 자세히 살펴보자. 보고서는 4대강의 주요 환경 성과를 가차없이 깎아 내리고 있다. “사업 전후 실측자료를 비교해 보면 한강, 낙동강, 금강에서 대체로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와 식물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본 딴 평평한 그물구조의 소재를 만들었다. 신축성과 투명성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은 셈이다. “투명 전극, 2년 뒤 상용화 할 것”투명 전극은 웨어러블 제품은 물론이고, 동물 피부나 유리, 나뭇잎 등에 붙여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의 온도나 습도를 측정하거나,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각형(약 30%)과 뾰족형(약 26%) 순이었답니다. 얼굴이 갸름한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셈이지요.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식문화가 서구화됐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흐르면 예전보다 턱이 덜 발달할 거라고 예상하고 있어요. 그 증거로 사랑니가 나지 않는 사람이 늘고 있는 현상을 들었지요. 턱이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먹을 때 이 부위가 도파민이라는 강력한 쾌락물질을 분비합니다. 행동에 대한 보상인 셈이지요. 미상핵은 머리를 가로로 잘랐을 때 중앙에 있는, 마치 새우처럼 생긴 부위입니다. 미상핵 역시 보상 시스템과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여기서 우리는 낭만적인 사랑이 왜 이렇게 강력한지 ...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맛있게 보이는 전분 사이에서 적당한 비율을 찾아 감자칩을 만드는 것이 핵심인 셈이다.➌ 두께 1.6mm의 비밀감자를 잘 숙성 시켰으면 다음은 적당한 두께로 썰어야 한다. 크럼에게 ‘더 얇게!’라고 주문했던 손님처럼 완벽한 감자칩을 위한 두께를 고민해 보자. 정답은 이미 나와 있다. 시중에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움직일 리는 없겠지만, 오랜 진화 과정을 통해 가장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방법을 찾아낸 셈이다.펭귄의 삶 들여다보기펭귄 무리는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습니다. 너무 작으면 경계가 약해서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기 쉽지요. 반대로 너무 크면 눈에 잘 띄고 전염병에 약합니다. 서로 말은 안 해도 ... ...
- [Life & Tech] 막춤의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한 가지 춤동작만 고집하는 고지식한 사람에겐 변화무쌍한 춤동작이 도움이 되는 셈이다. 집으로 돌아오는 차 안, 기자의 막춤을 찍은 영상을 돌려보며 ‘과연 나에게 필요한 춤은 무엇일까’ 생각했다. 취재 생각은 멀리 안드로메다로 보낸 채 마냥 신난 기자에겐 정신이 번쩍 들게 하는 춤이 ... ...
- [Fun] 이 책을 여는 순간, 당신의 뇌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랑스럽다.마지막 장을 덮고 나면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미로를 빠져 나오는 데 성공한 셈이다. 하지만 한번 맛 본 뉴런 숲의 매력에서 빠져 나오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셜록 홈즈가 그랬단다. “나는 뇌야, 왓슨. 나머지 부분은 그저 부록이지.” 이번 겨울엔, 중요한 건 알지만 그간 너무도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