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미
다소
느낌
부분
일부
소수
근소
d라이브러리
"
약간
"(으)로 총 2,52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는 어디서 발생했는가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중기 플라이스토세 인도네시아에서 살던 곧선사람들로부터 이어받았다.다지역기원설이
약간
변형된 설명도 있다. 이른바 ‘다지역기원 유전자 교환설’이다. 옛사람계통이 (지역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슬기사람으로 진화해 오는 과정에서 유전자 교환 비율이 점차적으로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이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그림자를 관찰하며 지구의 모습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밝게 빛나던 보름달이
약간
은 주황색으로 물들며 월식이 시작되었고 오른쪽 귀퉁이부터 조금씩 어두워지기 시작하더니 시간이 조금 더 지나자 과연 곡선 모양의 그림자가 달 표면을 조금씩 지나갔다. 만약 지구가 편평하고 납작하다면 ... ...
전자상거래 시대 개척한 아마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업계 인물들에게 자신을 소개하는데 언론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었을 것이다.베조스는 “
약간
미치광이 같은 일을 하기 위해서는 매우 낙관적인 사람이 돼야 한다. 나는 언제나 아마존이 성공할 거라 확신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아마존이 내 예상보다 훨씬 큰 기업이 됐다는 사실이다”고 익살을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눌림에 따라 변형은 일정한 과정을 겪는다. 어떤 물질도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지 않고
약간
씩 변형된다. 이러한 효과를 ‘탄성 이력 곡선’으로 나타낸다. 이력 곡선 내부의 면적은 바퀴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됐다가 결국 열로 방출되는 에너지에 해당한다(그림2).흔히 바퀴 축과 바퀴를 잇는 ... ...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정형외과에 들른 L군은 지시대로 물리치료를 받고 진통제를 복용했다. 그러자 통증이
약간
줄어들었다. 그런데 소리는 변함없이 계속해서 나는 것이 아닌가.L군이 결국 찾은 곳은 치과였다. 방사선 촬영을 비롯한 몇가지 검사를 받은 L군은 여기에서 비로소 정확한 설명을 들었다.오징어가 원인L: ... ...
스피드와 마찰의 조화, 스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필요가 있다. 스키를 평평한 곳에 올려놓고 옆에서 살펴보면 가운데 부분이 가장 두텁고
약간
볼록하게 위로 솟아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부분을 캠버라고 한다. 스키어가 부츠를 신고 플레이트 위에 올라서면 스키어의 체중으로 플레이트 바닥면은 평평하게 펴진다. 여기다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있었다. 이곳을 지날 때에는 왼발을 구르고 침을 뱉고 주머니에 있는 무엇인가의 물품을
약간
던져주었다. 주변의 돌을 주워서 던지는 일도 잊지 않았다. 지금은 많이 없어졌지만, 그래도 간혹 서낭당을 만날 때가 있다. 이러한 서낭당 말고도 마을 입구에 잡석을 원뿔대 모양으로 쌓아올린 탑도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오른쪽 발목에 쏠리는 한편, 왼손으로 창을 쥐고 있으므로 왼쪽 어깨는 긴장된 채 위로
약간
치켜 올라간 형태를 보여준다. 체중이 오른쪽 발목으로 집중되고 있기 때문에 골반은 수평이 아니라 한쪽 방향으로 쏠릴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조각가는 이 작품의 안정을 위해 머리를 오른쪽으로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다면체와 관련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여섯 개의 행성이 존재한다고 추론했다. 케플러는
약간
의 실험을 통해 포개진 정다면체와 구면의 배열을 발견했는데 여섯 개의 각 행성의 궤도는 여섯 개의 구면 중 하나 위에 놓여 있다고 주장했다. 토성의 궤도가 놓여 있는 가장 바깥쪽의 구면에는 정육면체가 ... ...
Ⅰ. 고고학/2만년전 후기 구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좀돌날이 발견됐다. 그런데 수양개의 좀돌날 제작 시기는 석장리의 경우보다
약간
늦은 1만8천3백년 전 - 1만6천4백년 전이었다. 또 제작 방법을 조사한 결과 석장리의 좀돌날 방식을 더욱 세련된 형태로 계승했다는 점이 밝혀졌다. 특히 수양개 사람들은 ‘날씬한 마름모’ 형태의 좀돌날인 슴베연모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