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낯
안면
겉
표면
머리
용모
화상
d라이브러리
"
얼굴
"(으)로 총 2,807건 검색되었습니다.
큰 소리의 대결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귀에 자극이 덜 하다.매혹적인 세이렌사이렌이라는 용어는 그리스 신화 속, 여자의
얼굴
에 독수리의 몸을 가진 ‘세이렌’에서 비롯했다. 세이렌은 바닷가 절벽에 앉아 아름다운 노래로 뱃사람을 유혹해 바다에 빠뜨렸다. 한 커피회사는 로고에 세이렌을 담았다.묵념사이렌현충일처럼 국가적으로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물…… 물론이지. 그 정도야 아주 쉬운 문젠걸. 딸꾹!”복사꽃처럼 발그레해진 공주의
얼굴
엔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지오는 삐져나오는 웃음을 애써 참았다. 그리고는 보란 듯이 산대 네 개를 공주가 놓은 산대 위에 덧놓고 몇 개 를 움직였다. “이렇게 하면 되지요.”순간 공주의 입이 헤벌쭉 ... ...
달팽이의 봄소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 하마터면 떨어질 뻔 했지 뭐야. 휴~! 달팽이 간 떨어질 뻔했네. 여기서 잠깐! 내
얼굴
에 달려 있는 것은 눈일까 더듬이일까? 정답은 둘 다야! 위에 있는 큰 더듬이 끝에는 눈이 달려 있는데, 내 눈은 밝고 어두운 정도인 명암만 구별할 수 있어. “아니 달순씨! 이게 얼마 만이에요…?” 지난 겨울 ... ...
디지털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변해야 홍채인식기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사실은 톰 크루즈가 영화에서 했던 것처럼
얼굴
에서 빼낸 눈을 카메라에 대봤자 문을 열 수 없다.반면 지문인식은 다르다. 영화 ‘솔트’에서 대통령이 중대한 결정을 내릴 때 마지막 본인 인증 단계로 대통령의 지문을 인식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때 악당은 ... ...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쌓아 만들지 않고, 원래 있던 바위산을 통째로 조각한 것이다. 사자의 몸에 카프레왕의
얼굴
을 조각했으며 태양신을 상징한다.달력으로 그린 쿠쿨칸 신전 피라미드가 이집트에만 있다고 생각하면 안 돼. 피라미드는 사각형을 밑면으로 하고 4개의 삼각형이 옆면을 둘러싼 사각뿔 모양으로 생긴 ... ...
호러 마니아가 '좀비'에 열광하는 까닭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되는 거부반응이다. 차라리 곰 인형을 뒤집어씌웠더라면 친근하게 다가왔을 로봇이 사람
얼굴
가죽을 뒤집어씌우자 괴물로 느껴졌다. 우리와 닮았지만 우리가 아닌, 이런 존재는 우리 정체성을 위협한다. ‘나도 결국 저런 존재가 아닐까’하는 불쾌감과 거부감, 그리고 공포심이 투사된 결과다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다른 불상보다
얼굴
은 크게 만들었어. 이게 바로 석굴암 본존불상의 특징이야. 불상의
얼굴
을 크게 만들어서 자비와 위엄이 석굴암 전체를 가득 채우도록 했지.불상이 바라보는 방향에도 깊은 의미가 담겨 있어. 불상은 동해를 바라보는데 정확한 동쪽이 아니라 남쪽으로 29.4° 치우쳐 있어.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배를 쑥 내민 자세로 뒷짐을 지고는 자신만만하게 걸어왔다. 장도사를 본 지오의
얼굴
은 함지박이 됐다. 장도사라면 황산사의 기분을 바꿔 놓을 것이 확실했기 때문이다.“그렇죠? 장도사 아저씨라면 틀림없이 그 방법을 찾아 낼 거예요.”지오는 다부지게 주먹을 쥐어 보이며 장도사를 추켜세웠다.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학생들이 실제 대화를 나누는 대상은 바퀴가 달려 있고,
얼굴
부위의 화면에 브린의
얼굴
이 나오는 ‘브린봇’이라는 로봇이었다. 실제 브린은 먼 곳에서 비디오 컨퍼런스 시스템을 통해 브린봇을 조정하고 있었다. 브린봇은 SF영화 스타트렉에 등장했던 개인용로봇(PR)을 현실에 구현한 초기 ... ...
열등감과 죄책감이 세뇌의 희생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상황은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모습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기 전에는 해결책이 없다.사람마다
얼굴
이 다르듯이 열등감과 죄책감의 성격도 다르다. 이를 발견한 사람이 칼 융이다. 그는 이 열등감과 죄책감에 ‘콤플렉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단어연상검사에서 어떤 단어를 주었을 때, 피실험자가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