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말"(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책 읽는 서울대 과학영재교육센터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온통 새하얀 관악산 산자락에 자리 잡은 서울대 과학영재교육센터. 흰 눈 사이로 파릇파릇 피어나는 보리싹이 아름답듯, 흰 눈을 헤치고 찾아온 꿈나무 한명 한명이 소중하다. 천하의 영재를 키우는 기쁨을 누리는 센터는 어떤 비법을 가지고 있을까?영재가 책 읽는 이유‘스티브 잡스 이야기’ ‘ ...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당신은 공군 전투기 편대장이다. 전투기 3대로 정찰을 나갔다가 아군기와 성능이 비슷한 적 전투기 5대와 맞닥뜨렸다. 이때 당신은 어떤 판단을 내려야 할까. 임전무퇴의 정신을 발휘할 생각은 버리고 ‘무조건’ 달아나야한다. 싸운다면 적기 한 대를 격추하는 동안 아군기 3대가 모두 전멸할 것이 ...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수학자이자 사회네트워크 분석가인 발디스 크렙스는 테러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다. 테러를 저질러서가 아니라 테러범을 분석했기 때문이다. 현재 악명 높은 테러범이나 테러 혐의자 중 그보다 유명한 사람은 오사마 빈 라덴 정도다. 크랩스는 1985년 캘리포니아에 있는 자신의 마을 ...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우리나라 전체를 뒤덮는 망원경이 있다. 지름이 478km인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이다. 이 거대한 관측망은 연세대, 울산대, 탐라대에 각각 하나씩 있는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3대로 이뤄진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KVN은 한반도를 넘어 중국과 일본까지 아우르는 지름 8000km짜리 동아시아 VLBI(초장거 ...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 본 기사는 2월 15일 이후부터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동영상 강의로 보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은 도처에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동반자로 보기에는 그 양이 너무 많다. 양으로 따지면 우리가 미생물의 세계에 기생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미생물은 대부분 ...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인천 제물포중 2층 복도 끝에 자리한 교실, 그곳에서 3월 인천과학고 입학을 앞둔 이성계 군을 만났다. 큰 무대와 어려운 자리에서 여러 번 발표한 경험이 있어선지 그는 여유로운 표정으로 취재진을 맞이했다.건널목에 멈춰서 있던 그는, 올겨울 2011학년도 과학고 이색 합격자로 한 차례 이름을 날 ... ...
- 300점 만점에 300점, 퍼펙트 볼링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스트라이크~! 10개의 볼링 핀이 통쾌한 소리와 함께 쓰러진다. 겨울철에 즐길 수 있는 운동에는 스키나 스케이트도 있지만, 실내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볼링도 겨울철 스포츠로 제격이다. 볼링에 담긴 수학을 찾아, 온 가족과 함께 볼링을 즐겨보자.볼링 핀과 둥근 공의 대결볼링은 누구나 쉽게 접하 ...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바르바리 해적에게서 벗어나기 위해 탈출 계획을 세운 허풍과 도형. 하지만 하메드, 아니 하디시 공주가 도망치지 않겠다고 한다. 공주에겐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1 하디시 공주의 경호원“도형아, 사람이란 말이다. 누구에게나 말 못할 사연이 있는 거란다. 공주도 마찬가지야. 우리라도 여기서 도 ... ...
- Part 3. 백신 접종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구제역 방역에 구멍이 뚫리면서 걷잡을 수 없이 번지자 정부는 결국 모든 가축에 구제역 백신을 맞히기로 결정했다. ‘그럴 거였으면 진작 접종하지….’ 이런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상황이 그렇게 단순하지가 않다. 충북대 수의대 강신영 교수는 “백신을 맞으면 상당 기간 ‘백신을 쓰지 않는 구 ...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생물은 오랜 기간 동안 진화를 거쳐 발전해왔다. 그 때문에 무척 견고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생명현상을 잘 들여다 보면 그 안에서 의외의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삶을 지탱하고 있는 모습이 복잡계 네트워크 구조와 비슷하기 때문이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