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성"(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모바일과 GPS를 만나다21세기 들어 증강현실기술은 새로운 파트너를 만났다. 특히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는 증강현실기술을 끌어안으며 유비쿼터스 세상으로 가는 길을 재촉했다.미국 해군연구소와 컬럼비아대가 2004년에 함께 개발한 MARS(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s)는 GPS로 받은 지도정보를 ... ...
- 일본 '가구야 공주' 달로 가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위성이고, 다른 하나는 달의 중력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VRAD위성이다.특히 연구자들은 가구야의 관측자료로 달의 기원 문제를 풀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현재 달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장 유력한 이론은 45억년 전 원시지구에 더 작은 천체가 충돌했는데 이 과정에서 뿜어져 ...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따라 최근에 정착한 학문이다지난 85년 프랑스가 적도상공 8백30km 고도에 띄워올린 관측위성(SPOT, Système Probatoire d'Observation de la Terre의 약자) 두 대의 멀티 스펙타클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어 10m까지를 분간하는 고해상능력을 자랑한다한 종류의 균만을 순수하게 기른 것의도하지 않게 근육을 ...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조사하는 일은 위험한 도전이다. 먼저 스미스 박사팀은 남극 웨델해 1만1000km2를 찍은 위성사진에서 빙산 1000개가량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이 중에서 판자 모양의 빙산 2개를 선택했다. 하나는 길이 2km에 폭 0.5km의 빙산 W-86이고 다른 하나는 길이 21km에 폭 5km의 빙산 A-52이다. 높이 41m의 W-86은 300m ..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이견이 없다. 20 대 80 법칙보통 무게가 500kg 이하인 위성을 소형위성이라고 한다. 소형위성은 무엇보다도 그 크기가 작다는 특징이 있으며 크기에 비해 효용성과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다.위성의 크기가 작아진다고 그 역할까지 작아진다는 뜻이 결코 아닌 셈이다. ...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천체망원경을 만들었다. 그리고 1610년 망원경을 이용해 달 표면, 은하수의 별, 목성의 위성 등을 새로 발견한 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라는 책에 실어 세상에 알렸다.갈릴레이와 동시대에 여러 사람이 동시다발적으로 제작하고 개선하던 망원경은 곧이어 중국과 일본, 그리고 조선에 전해진다 ...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이용한 절대거리간섭계시스템을 SLR에 적용하기 위해 중국의 관련 연구소와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와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10억분의 1 불확도를 성공적으로 완성한 BUPE 연구단이 10조분의 1 불확도에 도전하는 ‘TUPE’(Center for Trillionth Uncertainty Precision Engineering) 연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동년 1월 미국 · 영국 · 네덜란드 3개국의 국제협동계획으로 발사된 적외선 천운관측 위성아이라스(IRAS ; Infrared Astronomy Satellite)가 4월 25일 이동하는 천체를 발견했고 이어서 5월 4일 일본의 아라키 겐이치(荒貴源一)와 영국의 J 알코크가 발견한 7등의 새 혜성이 그것과 같은 것임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과학동아 l2007년 10호
- “32번 부품을 위치제어시스템 4번 자리에 꼽고, 먼지방지덮개를 씌우면! 아~ 드디어 나만의 인공위성 완성! 앗, 태양전지판을 붙이는 걸 깜빡했네. 그런데…, 어디다 뒀더라?”인공위성 모 ...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 ... ...
- 일본도 8월 달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소형 위성 2개가 함께 실려 있대요. 셀레네 탐사선과 소형 위성은 달에서 100㎞ 상공을 위성처럼 돌며 달의 지각과 원소 종류, 중력 등을 조사해요. 현재 세계에서 달 탐사에 성공한 나라는 미국과 러시아 두 나라뿐이지만 일본을 비롯해 중국, 인도, 유럽 등이 달 탐사에 도전 할 계획이래요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