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얼음을 뚫고 들어가 바다 속을 탐험하는 잠수함이 될 것이다.20세기가 시작될 무렵, 인류는 아무 것도 살 수 없을 것이라 믿었던 심해저에서 생명의 오아시스인 열수구를 발견했다. 마찬가지로 엔셀라두스의 깊은 바다 속에서 생명체를 만나게 되지 않을까. 화성 탐사가 끝나면, 아무래도 나의 다음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임원 15%는 화공과 출신Q 전공과 관련해, 향후 트렌드는 무엇일까요?A 지난 200년 동안 인류는 화석연료를 써서 풍요로운 물질문명을 이룩했습니다. 하지만 기후변화나 환경오염 문제도 일어난 게 사실이지요. 화학공학이 나아갈 길은 이런 문제의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속도와 각도를 구하면 태양계 어디에서 왔는지 알 수 있다”고 답했다. 또 다른 독자가 “인류를 멸망시킬 만한 큰 소행성이 지구에 다가오면 어떻게 하나”고 묻자, 변 교수는 “이미 대응 체계가 마련되고 있다”고 답했다.“그런 일은 항상 있어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겁니다. 대표적인 게 공룡이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구별하지 못하는 적록색약인 사람은 교통신호를 보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지요.하지만 인류가 처음부터 3원색을 구분할 수 있었던 건 아닙니다. 오랜 진화의 역사 속에서 획득한 능력이지요. 포유류 중에서도 우리 인간을 비롯한 영장류만 3원색을 구분하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보릿고개 넘기는 데 ... ...
- 결혼은 정말 미친짓일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행복을 느끼기 때문에 별도로 배우자를 찾지 않는 것도 한 이유다. 미국 럿거스대 인류학자 헬렌 피셔 박사는 이를 진화론적 적응으로 설명한다. 그는 “엄마가 아기를 돌보지 않으면 아기는 사자에게 잡아먹힌다”며 “남편은 엄마가 아기와 유대감을 강화하도록 진화한 체계에 맞서 싸우는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들지 않으며, 오염도 되지 않은 깨끗한 수원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바로 빗물이다.“인류는 아주 오래 전부터 빗물을 이용해 왔습니다. 100~200년 전까지도 빗물을 받아 식수와 생활용수로 썼는데, 생활수준이 높아지니까 빗물 기술이 낮은 수준으로 보이게 된 거죠. 하지만 남의 신세 안 지고,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소모적이고 피로한 논쟁만 일으킬지도 모른다. 한편 과학에는 제동도 필요하기에, 일부 인류학자와 과학자의 주장대로 이들이 갑자기 생물학적 인종 이야기로 ‘튀고’ 그게 다시 차별적인 인종주의를 불러올 가능성은 경계해야 한다.과학은 그 동안 차별적인 인종 개념에 의문을 제기하고 ... ...
- 잠과 꿈의 몽상학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고작 자신을 괴롭히는 악몽의 정체조차 모른다니 말이다. 하지만 조금 너그러워지자. 인류는 악몽은 커녕 꿈을 왜 꾸는지조차 정확하게 모르니까. 그리고 무엇보다 그 꿈이 정말 꿈인지도 모르니까. 진짜 세상이 꿈 속에 있고, 이 글을 읽고 있는 세상이 아득한 꿈이라고 믿고 싶은 악몽의 순간이 ... ...
- 대한민국은 결핵왕국? 교도소 결핵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쯤 하고, 이제 다른 사회로 시선을 잠시 돌려볼까요?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이자 인류학자인 폴 파머는 ‘권력의 병리학’에서 세계의 결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제적·윤리적 원칙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해요. 그 근거로 파머는 러시아의 교도소에 수감된 결핵 환자들의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론이 제안됐지만, 사실상 그 이론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인류는 우주의 초기 조건에 대해 알고 싶어 하지만, 한가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우주론에서 얘기하는 관측은 빅뱅이 일어난 시점이 아니고, 우주의 급팽창(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시점이지요. 물론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